본 연구는 자기연민, 수용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기연민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수용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완전매개 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여 부분매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22명(남자 110명, 여자 112명)을 대상으로 자기연민을 측정하는 한국판 자기연민척도, 수용을 측정하는 한국판 수용-행동 질문지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는 한국판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모았다. 분석 결과, 완전매개 모형보다 부분매개 모형의 적합도가 더 낫게 나타났고, 전체 모형의 직접경로와 간접경로 둘 다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자기연민은 수용의 향상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임을 시사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적 개입 프로그램에 대한 응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추가로 필요한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The major goal of current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mpassion,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purpose,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accepta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ected full mediation model as a competition model, and estimated fit indices of partial mediation model.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thre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d to a sample of 222 university students(male=110, female=112), using K-SCS, K-AAQ-Ⅱ and K-PWBS. As a result, fit indices of research model was better than competition model, and both direct and indirect paths in general model were significant. This results showed that self-compassion influences not only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increased acceptance indirectly but also does directly. Application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based on the model was suggest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