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심리, 행동적 문제와 인터넷 사용동기의 이중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ternet Addiction: Dual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Behavioral Problem and Internet Use Motivation
배성만 ( Sung Man Bae ) , 박중규 ( Joong Kyu Park ) , 고영삼 ( Young Sam Ko )
UCI I410-ECN-0102-2013-180-00203203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데 있어 심리, 행동적 문제와 인터넷 사용동기 변인이 이중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 대구 및 강원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 고등학교 청소년 3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 청소년 피험자가 267명(남 124명, 여 143명), PC 방의 주인과 학교로부터 인터넷 과다사용자로 지목된 표적표본이 62명(남 56명, 여 6명)이었다. 일반표본과 표적표본 간 측정변인의 평균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모-자녀 개방적 의사소통 변인을 제외한 인터넷 중독, 인터넷 사용동기, 부모-자녀 역기능적 의사소통, 심리?행동적 문제(공격성, 주의력 문제, 행동문제)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검증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 변인이 인터넷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심리, 행동적 문제와 인터넷 사용동기를 매개하여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이중매개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 과정을 이해하고 치료적 대안을 찾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explai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behavioral problem and internet use motiv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ternet addiction for adolescents. This study enrolled 329 adolescents(middle and high school) who live in Seoul Gyeonggi Daegu and Gangwon. general adolescent samples are 267 persons(male 124 female 143) target samples are 62 persons(male 56 female 6). In order to compare partial dual mediation and full dual mediation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by AMOS 7.0 programs.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indirectly a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via psychological behavioral problems and internet use motiv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directly a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That is a partial dual mediation model fit the data of our study well.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