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간의 애착 안정성,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또래관계 능력, 그리고 행동 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여, 아동의 행동문제를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 방법 모색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대구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327명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아동후기인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의 애착안정성,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 또래관계기술, 행동문제 각각의 특성과 각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아동기의 적응상의 어려움을 야기 시키는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해하기 위해 애착 안정성,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과 또래관계능력의 직?간접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들의 구조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AMOS 19.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과 또래관계기술은 행동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은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과 또래관계기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은 또래관계능력을 매개로 아동의 행동문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애착은 아동의 행동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애착이 정서인식 및 표현능력과 또래관계기술을 매개하여 아동의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chool-age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ttachment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abil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72 Children in 5th and 6th grade randomly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MOS 19.0. The results showed that: 1)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ability were found to affect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2) attachment were found to affect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y and social ability; 3)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y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mediated by social ability; 4) attachment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mediated by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y or social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