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섭식관련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otropy and Sociocultural Pressure on Binge E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Distortion
조성실 ( Seong Sil Cho ) , 박기환 ( Kee Hwan Park )
UCI I410-ECN-0102-2013-180-00203345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사회지향성,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 섭식관련 인지왜곡과 청소년 여학생의 폭식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왜곡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여학생 55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중학생은 206명, 고등학생은 345명이었다. 연구의 주요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성격양식 질문자(PSI-II), 삼자영향척도(TIS-R), Mizes의 인지왜곡 척도(MACS),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BULIT-R)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성 폭식증 검사 점수를 기준으로 청소년 여학생들을 폭식경향 집단과 정상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폭식경향 집단에서 신체질량지수(BMI), 사회지향성, 사회문화적 압력, 인지왜곡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사회지향성, 사회문화적 압력, 인지왜곡, 폭식행동 간 관련성이 유의하였다. 셋째, 매개분석 결과, 사회지향성, 사회문화적 압력, 인지왜곡이 폭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인지왜곡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지향성과 사회문화적 압력이 섭식관련 인지왜곡을 매개로 하여 폭식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 among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to thinness, cognitive distortion and binge eating in adolescent girl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ognitive distortion mediate that sociotropy and sociocultural pressures affect binge eating.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51 female adolescent composed of 206 middle school girls and 345 high school girls were involved in the study and responded to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vised Personal Style Inventory, Tripartite Influence Scale-Revised, The Mizes Anorectic Cognition Scale and Bulimia Test Revised were used to measure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s, cognitive distortion and binge eating. Mediated effect of cognitive distortion among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s and binge eating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girls discriminated into binge eating group and normal group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Bulimia test revised scores. The result of compared two groups was that binge eating group have a significantly higher body mass index(BMI), sociotropy, and socicultural pressures, cognitive distortion than normal group. Second,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and cognitive distortion were related significantly to binge eating. Third, The result of mediated analysis were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and cognitive distor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inge eating behavior and sociotropy, sociocultural pressure fully mediating model of the cognitive distortion fitted the data. In other words, sociotropy and sociocultural pressure indirectly affect cognitive distort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by through cognitive distortion.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