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연방 부랴트공화국의 명목민족어 부랴트어는 2005년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언어``목록에 포함되었다. 부랴트어는 1920-40년대 소비에트 정부의 민족어 발전 정책에 따라 발전의 전기를 맞이했지만 1950년대 이후 소비에트 정부의 러시아어 중심 언어정책의 결과로 기능을 심하게 상실하여 소멸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10년 인구조사 결과, 부랴트인의 약 80%가 부랴트어를 모어로 여기지만, 그 중 절반 이상이 부랴트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부터 부랴트공화국 정부가 부랴트어를 국어로 지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부랴트어 발전을 위해 노력한 결과, 2010무렵에는 주로 교육 분야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다. 부랴트어를 배우는 학교와 학생 수가 증가했고, 부랴트어에 대한 부랴트인과 러시아인의 의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부랴트어가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균형적인 부랴트어-러시아어 이중언어 상황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부랴트인들의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In 2005, Buryat language has been included in the list of endangered languages by UNESCO. The language situation in the Buryat Republic of the Russian Federation in the years of 1920-40 was relatively normal due to the language policy of the Soviet Union. But after the early 1950`s because of the integration policy of the Soviet Union, Buryat language began to lose its functions. As a result, at the 2010 National census, 80% of Buryat answered that Russian is their mother tongue and 58% of Buryat answered that they do not know Buryat language. After the early 1990s, the government of the Buryat Republic defined Buryat language as one of the official languages, and made efforts to develop Buryat language. Because of this, by 2010, the situation improved. The number of students, who learns Buryat language, has increased, and the attitude of Buryat and Russian to the Buryat language has improved. But, in order to develop Buryat language further and create a normal situation of Buryat-Russian bilingualism, Buryats have to make greater eff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