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학(文學) : 『시경(詩經)』의「국풍(國風)」소고(小考)
Literature : A Study on the Shijing Guofeng
유형구 ( Hyeong Gu Yoo )
한국사상과 문화 64권 37-76(40pages)
UCI I410-ECN-0102-2013-910-002005869

이 小考는 『詩經』의 詩가 현대인에게도 인격을 수양하고 가정과 나라를 다스리며 풍속을 바꾸고 건전한 사회를 형성하는데 일조가 된다고 보아 전반(前半)의 「國風」을 대상으로 각 제후국의 작품 1편씩을 선정하여 그 내용을 고찰한 것이다. 제1장 머리말에서는 詩經이 우리나라에 수입된 과정과 학습하여온 내용을 살펴보았고 다음에 詩經에 대한 개괄적인 해설을 하였다. 이 詩經은 본래 3,000여 편이던 것을 孔子가 산시(刪詩)하여 311편이 되었다고 하는 사마천(司馬遷)의 산시설(刪詩說)과 묵자(墨子)의 「公孟」편에 ``송시삼백(誦詩三百)`` 등으로 보아 『詩經』은 당초부터 305편이다.``라는 이설이 있음을 언급하고 이어 풍아송(風雅頌) 흥부비(興賦比) 등의 六義와 「毛詩序」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2장 ``시경과 한국인의 관계``에서는 시경이 우리나라에 수입(輸入) 된 과정과 국학 국자감 태학 성균관 향교 서원 서당 등 각급 교육기관에서 수용된 내력을 삼국유사 등의 사서(史書)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제3장 ``作品의 內容硏究``에서는 먼저 「주남(周南) 」으로부터 빈풍(빈風)까지의 각국의 지역과 역사적 사실을 소개하고 선정한 시를 번역하고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주남의 관저(關雎)편에서는 건전한 남녀인 군자와 숙녀가 배우자를 그리워하며 구하는 모습과 구한 뒤 금슬 좋게 친애하며 종고(鐘鼓)로 즐기는 부부애를 살펴보았다. 「소남(召南) 」의 작소(鵲巢)편에서는 제후의 신부가 될 정숙한 여인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3. 「패풍(패風) 」의 개풍(凱風)편에서는 아들이 모친을 위로하지 못함을 반성하는 효심을 알아보았다. 4. 「용風」의 백주(柏舟)편에서는 공강(共姜)이 약혼자가 죽자 수절한 내용을 알아보았다. 5. 「衛風」의 기욱(淇奧)편에서는 ``위무공(衛武公)``의 치적을 고찰하였다. 6. 「王風」의 서리(黍離)편에서는 서주(西周)의 붕괴를 애통하는 대부의 애국우민의 정을 알아보았고 7. 「鄭風」의 여왈계명(女曰계鳴)편에서는 부부가 서로 권면하는 건전한 생활 모습을 알아보았다. 8. 「齊風」의 저(著)편에서는 신부가 시집오던 신혼의 모습을 회상하는 내용을 알아보았고 9. 「魏風」의 첩고(陟岵)편에서는 나라의 행역에 나간 아들이 부모 형제를 그리워하는 심정을 살펴보았다. 10. 「唐風」의 실솔편에서는 농한기를 보람 있게 보내는 근면한 생활태도를 알아보았고 11. 「秦風」의 소융(小戎)편에서는 융적을 방어하는 씩씩한 병사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12. 「陳風」의 형문(衡門)편에서는 은거하는 군자의 모습을 통하여 희공(僖公)의 무능을 알아보았다. 13. 「檜風」의 고구(羔구)편에서는 대부가 사치만을 좋아하고 정치에는 관심이 없는 임금을 풍자하며 나라를 떠나려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14. 「曹風」의 하천(下泉)편에서는 주왕(周王)을 보익한 순백(순伯)을 찬미한 내용을 알아보았고 15. 「빈風」의 파부(破斧)편에서는 주공이 동정하여 세운 위대한 공업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제4장 ``맺음말``에서는 연구를 진행한 내용을 요약 서술하여 끝을 맺었다.

爲了使≪詩經≫對現代人修養人格、治國持家、改風易俗、建立健全的社會有所幇助, 本稿以國風作品爲對象, 進行詩歌選擇立對其內容進行硏究, 整理如下。第壹章, 在序論中, 首先通過察閱≪三國史記≫等史書來了解, 中國的≪詩經≫傳入我國的過程以及學習引進的內容, 其次, 對≪詩經≫進行槪括性解說。根據司馬遷在刪詩說中所說≪詩經≫最初有三千餘篇, 經孔子刪減爲三百十壹篇, 以及≪墨子?公益篇≫中 誦詩三百等句子, 得知自唐朝初期開始≪詩經≫爲三百五篇, 對于這壹異說進行了了解, 立對四家詩和風雅頌, 興賦比六義及毛詩序進行了硏究。第二章,≪詩經≫和韓國人的關系,依據曆史書了解到≪詩經≫傳入我們國家的過程和在各級學校中作爲敎材使用的來曆。第三章, 爲作品的內容硏究. 本章以十五國風爲對象, 介紹了從周南壹直到幽這些國家的地域和歷史, 立從壹百六十首國風詩中選出代表各國國風的作品, 立對內容進行了思考。1.≪周南?關雎篇≫描繪了健全男女君子和淑女想念立追求配偶以及追求到配偶之後, 琴瑟膠柱, 享受鐘鼓之樂夫婦愛。2.≪召南·鵲巢篇≫描繪了成爲諸侯新婦的成熟女性面貌。3.≪패風·凱風篇≫描寫了七兄弟的兒子的壹片孝心, 爲不能安慰母親而反省。4.≪용風·柏舟篇≫以共姜在定婚人死後, 堅守節操爲內容。5.≪衛風·泣奧篇≫考査了衛武公的治積。6.≪王風·黍離篇≫描述了大夫對西周崩壞的哀痛以及愛國憂民之情。7.≪鄭風·女曰계鳴篇≫描繪了夫婦互相勉勵的健全的生活面貌。8.≪齊風·著篇≫描述了新식婦出家的美好新婚情形。9.≪魏風·陟岵篇≫描寫了兒子被國家召集去行役, 對父母和兄弟的思慕之情。10.≪唐風·실솔篇≫描述了充實的度過農閑期的那種勤勉的生活態度。11.≪秦風·小戎篇≫描寫了士兵防禦夷狄的두志博博的精神面貌。12.≪陳風·衡門篇≫通過隱居君子的面貌諷刺了僖公的無能。13.≪檜風·羔구篇≫描述了大夫諷刺國王只追求侈奢, 對政治毫不關心, 立想離開國家的情形。14.≪曹風·下泉篇≫以讚美순伯幇助周王的勞苦爲主要內容。15.≪幽風·破斧篇≫主要讚頌周公東征建立的豊功偉績。第四章 爲結論篇, 對序論和本論中所描述的內容進行槪括, 記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