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상품의 육성은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Cultural Identity), 간접적 국가이미지 전달과 홍보역할, 수요의 지속적 창출을 통해 국가 전체의 경쟁력 제고와 직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 관광객들에게 한국의 기상과 우리 문화의 우수성 및 국가의 고유 이미지를 전달할 만한 문화상품이 매우 부족한 형편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국의 관광이미지와 상품이미지를 제고시킬 수 있는 이미지 상품을 만들어야 하기에 이에 따른 패션상품을 문화상품으로 개발할 때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외국관광객의 국내 관광쇼핑의 시장현황과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디자인 실태를 통계적 자료와 문헌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관광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판매원의 의식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패션문화상품의 문제점을 찾고 앞으로 관광지역의 패션문화상품의 개선책과 실증적 디자인 개발 및 시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려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관광객의 국내 관광쇼핑상품의 시장현황을 알아본 결과 외화수입 중 쇼핑비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 외국관광객들이 선호하는 쇼핑품목이 과거 전통공예품 위주 구매 경향에서 1990년대 의류, 식료품, 피혁제품 등 매우 다양해 졌으며 특히 패션문화상품인 의류는 1995년 이후 계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쇼핑장소는 1980년대 중반 공항면세점에 집중되었던 것이 1998년에는 공항면세점 · 시내면세점 · 백화점 · 이태원상가 · 남대문시장 등 고르게 다변화 되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 문화상품의 디자인 실태를 알아본 결과 제품 디자인의 경쟁력은 중간정도로, 품질 · 가격 · 내구성 · 신뢰성 등 디자인 이외의 요소에 비해 현저히 낮게 평가되어 우리나라 상품이 품질에 있어서는 경쟁우위에 있지만 디자인 즉 측면에서는 열세함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판매원을 통해 본 우리나라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판매원을 통해 외국관광객들의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점포를 방문한 외국관광객들은 패션문화상품의 아이템 측면과 가격의 만족도는 두 지역 모두 만족하였으나, 한국적 디자인의 측면에서만 이태원이 인사동 지역보다 낮은 것으로 보이고, 불만족 사항은 가격에 대한 불만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포장과 마무리, 디자인, 기능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격에 대한 불만은 가격수준에 대한 것이 아닌 동일 제품에 일관성 없이 가격을 지불하는 것에 대한 불만으로 앞으로 거래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패션문화상품의 아이템 구성과 판매실태를 알아본 결과 외국인이 가장 많이 구입하는 아이템은 패션상품과 기념품류로 1~5만원대의 저가상품들 이였다. 그리고 점포의 년매출이 이태원의 경우 3000만원이하(25.64%)가 가장 많았다.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판매원이 느끼는 문제점은 가격체계의 불합리,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정부와 여행사, 호텔 항공사 등의 연계성 있는 홍보의 부족, 정부기관의 일관성 있는 진흥정책과 신상품 개발에 대한 지원의 부재, 전통미와 세련미를 지닌 상품의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한계를 바탕으로 외국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패션문화상품의 시장현황 및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의 패션문화상품 시장을 활성화하는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실증적인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developing of the culrural-related goods for tourists is related with the promoting of national image and consumer needs. However, Korea does not have yet to develop more goods with native cultural identity that would appeal to the visiting tourists. Therefore, this thesis will try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needed for development of fashion related items that would in turn improve the image of Korean culture-related goods and tourism. To provide such data, studies on shopping patterns of foreigners in Korea and current position of Korean designs will be done through statistical data and literal references. Also through research on vendors awareness culture-related fashion items in tourist areas, we will look at the problems of Korean culture-related fashion items and possible ways for improvement.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from 1995 fashion-related items, especially clothes, maintains its position as the most preferred purchase item. Shopping area has also changed. Until mid 1980s most purchase were made at airport duty-free shops. However by 1998, shopping areas have also diversified, including airport duty-free shops, downtown duty-free shops, department stores. local markets such as Itaewon, Namdaemoon Market and etc. Second, studies on current positioning of Korean design show that Korean design competitiveness rank around the middle, however in non-design criteria such as product quality, price, lasting quality, and reliability Korea has competitiveness over neighboring Asian countries. However, Korean style and design fall behind Taiwan, Singapore and Hong Kong. Third, result on research of vendors awareness of fashion item in Itaewon and Insadong. According to the vendors, foreign buyers are quite satisfied with clothing items and their price; however it shows that Itaewon area lacks in original culture-related fashion items compared to Insa-dong area. Foreign tourists are most dissatisfied with price, followed by packaging, design, and functionality, Foreign buyers are not dissatisfied with the level of price, but the lack of consistency of price; same goods have different prices at different stores. Vendors point out that there are several problem regarding fashion items. Both areas have inconsistent price structure and there are problems in the distribution channel. Also, lack of cooperation in PR among government, travel agency, hotel, and airline companies with the absence of coherent promotion policy and support for new cultural products by the government, and finally insufficient efforts in vested for developing new products, cause the market to be less profi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