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0
216.73.216.20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임신 중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오인된 대장게실염의 보존적 치료
Conservative management of cecal diverticulitis mimicking acute appendicitis in a pregnant woman
김선영 ( Sun Young Kim ) , 정영주 ( Young Ju Jeong ) , 류철희 ( Chul Hee Rheu ) , 송윤경 ( Yun Kyung Song ) , 채희숙 ( Hee Suk Chae ) , 최원구 ( Won Ku Choi )
UCI I410-ECN-0102-2013-510-002162616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임신 중에 맹장게실염의 발생은 극히 드물며, 충수염으로 오인하기 쉬운 질환 중 하나이다. 맹장게실염의 진단은 매우 어려워 적절한 초기 진단과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산모와 태아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대장암과 같은 다른 대장 질환과의 감별진단이 어려워 적절한 치료방법이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충수돌기염이 의심되어 복강경수술을 시행한 임신 19주 1일 산모에서 맹장게실염이 발견되었고 보존적 방법인 충수절제술 후 보조적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여 35주 4일에 제왕절개술로 성공적인 분만을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 24-year-old pregnant woman was referred for further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right lower quadrant pain at 19+1 weeks gestational age. The patient was diagnosed to be acute appendicitis and underwent laparoscopic surgery. However, an inflamed solitary cecal diverticulum was found during surgery. After a routine appendectomy, cecal diverticulitis was conservatively treated with postoperative antibiotics without signs of peritonitis. To date, most of the non-pregnant women with cecal diverticulitis have been managed surgically. Our case indicates that a pregnant patient with cecal diverticulitis could be managed medically during pregnanc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