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대학,프로 여자 농구선수들의 스포츠 손상 실태 조사
A Study of Sports Injury on University and Professional Female Basketball Players
김경훈 ( Kyoung Hun Kim ) , 신성아 ( Sung Ah Shin ) , 김성훈 ( Sung Hoon Kim )
체육과학연구 23권 4호 764-775(12pages)
UCI I410-ECN-0102-2013-690-002354640

이 연구는 여자 농구 선수들의 스포츠 손상을 전체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스포츠 손상 조사 체계와 예방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프로 농구선수 1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조사한 결과, 스포츠 손상시기에서는 두 집단 모두 시즌전이 높게 나타났으며, 스포츠 손상 발생순간의 경우 두 집단 모두 연습 경기 중에 손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손상 발생 장소의 경우 홈경기가 높으며, 3쿼터 때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손상 시기는 오후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습횟수에 대한 손상율은 하루 3회 연습 시 손상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손상의 원인의 경우 대학선수는 상대팀의 반칙행위 때문에 손상율이 많이 발생한다고 대답한 반면 프로선수의 경우에는 집중력의 부족 때문에 손상율이 발생하였다고 하였다. 치료기간의 경우 대학선수는 3-7일로 나타난 반면 프로선수의 경우 4주 이내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손상 부위를 살펴보면 상지의 경우 손가락-손목-팔꿈치-어깨 순으로 나타났고, 몸통부분에서는 두 집단 모두 허리의 손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 손상은 두 집단 모두 발목 손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 손상 형태를 살펴보면 찰과상-타박-염좌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스포츠 손상 발생 원인으로는 다른 선수와의 접촉이 가장 많았고, 스포츠 손상 패턴의 경우 점핑 후 착지-리바운드 시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 손상 발생 지역으로는 골밑에서 손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발목-허리-무릎-손가락의 손상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 되어졌으며 이 결과는 발목-허리-무릎 순으로 정형 외과적 손상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스포츠 손상율을 줄이기 위하여 정기적인 조사를 통해 연도별 추이와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추후 연구로는 개인별 심층면접을 통해 스포츠 손상을 입는 각 신체 부위에 대한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물과 스포츠 손상 기전들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스포츠 손상 예방법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sport injuries female basketball players (University; Professional)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resources for the system and prevention of sports injuries. Questionnaires including injury characteristics and factor associated with sports injuries were collected from 120 players. The data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cross tabulation. These were the following results; The injury time was highest before the match for both groups. The injury occurrence was highest during the practice match for both groups. The place of injury occurrence was highes during the 3rd quarter of the home match. The injury time was highest in the afternoon, and the inju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actice was highest when practiced three times per day. Most of the University players considered the cause of injury due opponent`s foul play, whereas, professional players considered it due to lack of concentration. For the time of the injury treatment, the university players took 3-7 days, whereas, the professional players took within 4 week time. Looking at the frequent site of injury, it was ranked in the order of finger-wrist -elbow-shoulder for the part, and back for the mid part for both groups, and the ankle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for both groups. For the most common type of injury, it was ranked in the oorder of abrasion-bruising-sprain. The most common cause of injury was due to collision with the other players. Most injuries occurred during landing and rebounding times, and the most frequent site of injury was at the basket region. The result showed that for the most frequent site of injury, it was ranked in the order of ankle-back-fingers. In order to reduce the percentage of injury, a progress and update of yearly records should be conducted via consistent research into this area. Also, further research into individual`s site of injury should be investigated via in -depth interviews for a more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 Through the in depth research into the cause of injury, it is expected to develop a more effective approach to the prevention of sports injur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