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홍화종자의 등숙과정에서 항산화성과 폴리페놀화합물 분석
Determin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in Ripening Stage of Safflower Seeds
김환나 ( Hwan Na Kim ) , 이강수 ( Kang Soo Lee )
UCI I410-ECN-0102-2013-520-002313842

홍화 종자의 품질 평가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 등숙 기간에 따른 종자의 길이, 너비, 백립중 및 발아율을 조사하여 특성을 비교하고, 종자의 항산화성과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등숙 기간에 따른 의산과 청수 품종의 종자길이와 너비는 등숙이 진행 될수록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백립중은 개화후 20일 종자에서 크게 증가하여 개화 후 30일 종자와 비슷한 특성 변화를 보였다. 등숙 기간에 따른 발아율은 의산 품종의 경우 개화 후 10일 종자는 40%, 개화 후 20일 종자는 98% 그리고 개화 후 30일 종자는 80%로 개화 후 30일 종자보다 개화 후 20일 종자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그러나 청수 품종은 개화 후 10일 종자는 50%, 개화 후 20일 종자는 79% 그리고 개화 후 30일 종자는 80%로 개화 후 20일 종자와 개화 후 30일 종자의 발아율이 비슷하였다. 등숙 과정에서 항산화성은 의산과 청수 품종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개화 후20일 종자에서 크게 증가 하였으며, 개화 후20일 종자와 개화 후 30일 종자는 비슷하였다. 페놀화합물은 300nm에서 HPLC 분석한 결과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의 피크가 크게 나타났고, N-(p-coumaroyl) serotonin-5-O-b-D-glucoside의 피크가 14분대에 그리고 N-feruoylserotonin-5-O-b-D-glucoside의 피크가 16-7분대에 나타났다. 또한, 등숙 과정에 따른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 함량은 의산 품종에서는 개화 후 20일에서 가장 높았고, 개화 후 30일에서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청수 품종에서는 개화 후 30일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N-feruloylserotonin-5-O-b-D-glucoside와 acacetin-7-O-b-D-glucuronide은 두 품종 모두 소폭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의산과 청수 품종에서 공통적으로 N-(p-coumaroyl)serotonin-5-O-b-D-glucoside 함량이 개화 후 30일까지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그 결과 N-(p-coumaroyl)serotonin-5-O-b-D-glucoside 함량을 비교하는 것이 등숙 과정에 따른 기능성 품질 평가의 기준에 알맞다고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ertain a standard on quality evaluation from safflower seeds. Length, width, hundred seed weight, germination ratio,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with varieties of safflower seeds from Eusan and Choungsu were investigated. The length and width of safflower seeds from Eusan and Choungsu were constant, but there were changes in both hundred seed weight and germination ratio during the ripening period. While the germination ratio of variety from Eusan peaked at 20 days after flowering seeds (98%), the germination ratio of variety from Choungsu peaked between 20 days after flowering seeds and 30 days after flowering seeds (79-80%).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varieties from Eusan and Choungsu peaked between 20 days after flowering seeds and 30 days after flowering seeds. The polyphenol compounds consisted of N-(p-coumaroyl) serotonin (CS), N-feruloylserotonin (FS), N-(p-coumaroyl) serot-onin-5-O-b-D-glucoside (CSG), N-feruloylserotonin-5-O-b-D-glucoside (FSG) and acacetin-7-O-b-D-glucuronide (AG). The content of CS and FS peaked at 20 days after flowering seeds of variety from Eusan while content of CS and FS of variety from Choungsu continuously increased until 30 days after flowering seeds during the ripening period. The FSG and AG slowly increased in the varieties of safflower seeds. In particular, considering continuously increasing the content of CSG from Eusan and Choungsu until 30 days after flowering seeds, it will be a great standard to compare the content of CSG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flowering seeds during the ripening perio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