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고경명 제화시의 의경과 미적 특질
高敬命題畵詩的意境與美的特質
황수정
한국한시연구 20권 199-234(36pages)
UCI I410-ECN-0102-2013-810-002372020

본 연구는 霽峯 高敬命(1533~1592)의 제화시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제화시에 나타난 의경과 미적 특질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제봉의 제화시는 총16題 88首로 다양한 제재를 구성하고 있다. 작시의 연원 또한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제봉은 시인의 감식안으로 새로운 의경을 창출하였다. 그의 제화시의 情景交融 형상과 의경 측면을 고찰하였다. 먼저 畵意의 시적 승화이다. 제봉은 화가가 묘사하고자 한 畵意를 간파하고 그것을 시적으로 승화시켰다. 화면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에 멈추지 않고, 시인의 감식안을 발휘하였다. 내면에 대한 깊은 사유를 통한 심원하면서 달관적인 의경을 구축하였다. 두 번째는 畵境의 확대를 통해서 시의를 구축하였다. 虛實相生의 조화를 이루는 예술의 경계를 말한다. 제봉은 자신의 심미인식으로 화가가 미처 표출하지 못한 화경을 확대 또는 연장시켰다. 이러한 제봉의 독자적인 의경 표출은 그림에 대한 재해석이다. 세 번째는 畵意와 詩意의 합일과 조화를 이루었다. 이는 제화시 미적 구조에 있어서 가장 주목되는 부분이다. 제봉의 제화시 형상에 있어서 가장 역동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의경으로 도출되었다. 시의 음악성과 言外之意의 멋을 부각시켰다. 역동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의경으로 그림과 시의 조화를 이루었다. 제봉 제화시의 미적 특질을 고찰하였다. 이는 탈속적 興의 미학으로 보았다. 지금까지 살펴본 제봉 제화시의 미적 측면을 보면, 완만한 구조 속에 담박하게 표현하였다. 興은 현실과 조화로운 정감이 이루어질 때 빚어진다. 이러한 면모가 가장 잘 표현된 시들을 고찰하였다. <序班高姓者 携一古畵 爲人求詩> 제3수, <題半刺畵竹圖> 제2수, <漁舟圖> 등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참신하고 생동감 있는 정취를 그리고 있다. 시인의 모습이 투영되어 초탈한 듯한 선인을 연상시킨다. 여기에 달빛에 둘러싸인 몽환적인 분위기가 더욱 초탈한 興의 미감을 증진시켰다. 특히, <漁舟圖>는 제봉의 대표작 중에 하나이다. 어주도에 표현된 미감은 자연스러운 發興의 미로 드러났다. 고기잡이배와 어울린 정경을 노래하며 생동감을 부여하였다. 허공에 흩날리는 ``갈꽃``은 아스라한 분위기를 주도한다. 아득한 세계의 淸澄한 멋을 담고 있다. 고요한 공간에 울려 퍼지는 젓대 소리에 강물 위의 달빛을 표현하면서 고요한 울림을 강조하였다. 화면의 생동감과 함께 맑은 정조가 동시에 드러났다. 제봉 제화시는 자연스러운 興의 미감이다. 그의 제화시는 심원하면서도 격조 있게 표출되었다. 따라서 淸澄하면서도 그윽한 興의 정조를 발흥시켰다. 현실 속에서 가장 이상적인 모습을 꿈꾸는 유연한 모습이다. 제봉이 꿈꾸는 이상향에 대한 그리움은 현실 속 자연의 멋을 그대로 노정하고 있다. 이는 현실 밖의 초탈한 듯한 모습으로 탈속적인 興의 미학을 연출하였다.

本論文是關于霽峰高敬命(1533~1592)題畵詩的硏究,主要目的是探究其題畵詩的意境與美的特質。霽峰的題畵詩共16題88首,其題材具有多樣性,而構成這種多樣性的原因主要在于他當時活躍的藝術交流。接下來本人對霽峰題畵詩的形象化的三個方面進行硏究,具體而言,是"情景交融的形象與意境"。第一是題畵詩對畵意的升華。霽峰在對畵家所作畵的意思的理解上作詩,對畵意進行了升華。霽峰不是對畵進行寫實性的描寫,而是發揮了詩人的想象力。詩人經過深刻的思考后,表現了深遠和達觀的意境。第二是通過擴大畵境,構筑了詩意,卽藝術境界,타指的是虛實相生的調和。霽峰通過自己的審美意識,擴大畵境,表達了畵家隱藏在畵中的深刻畵意。霽峰作品獨特的意境就是對畵意的再解釋。第三是畵意與詩意的合一與調和。換句話說,타是題畵詩中美的主要構成。他的題畵詩表現了形象中最富力量和感性的意境。總而言之,通過富有生命力和生動的描述和感性的意境,霽峰實現了畵和詩的調和。接下來本人又考察了霽峰題畵詩的美的特質,卽脫俗的"興"的美學。他的題畵詩表現出緩慢的節奏,里面蘊含着淡泊的情운。"興"是유合現實和情感的一種節奏。据此,我考察了具有這種感覺的題畵詩。我們可以看到比如,《序班高姓者 携一古畵 爲人求詩》第3首,《題半刺畵竹圖》第2首,《漁舟圖》等都展示了這種風格。他的詩歌里描寫了自然和人類的密切、相互協助的關系,表現出生命力的余운和참新的情운。他的詩歌里也出現詩人,樣子好像是超脫的仙人一般,這種場景像是夢境,這也增添了其超脫的興的美感。尤其是《漁舟圖》,是霽峰的代表作之一,타擁有自然的美感。天空中漫天飛舞的芦花,有種朦朧的情調和淸澄的情운; 安靜的環境中響起的笛子聲和倒映在江面的月影,强調了靜寂中的聲響和美麗的氣분。總的來說,該題畵詩現露出畵面的行動感和淸亮的情운。最后,霽峰題畵詩以自然發生的興的美感爲主,幷表現了深遠的格調。所以,人們能從中感到淸澄和幽深的興的情운。這悠然的場景是現實中人們最理想的夢中的樣子。這種超越現實的樣子就是脫俗的興的美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