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 제조기업의 교육훈련 투자실태와 이에 따른 성과의 변화를 경로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사업체패널 1, 2, 3차년도 자료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중소 제조기업의 1인당 교육훈련 투자가 1인당 매출액과 1인당 순이익 증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2005년도 중소 제조기업의 교육훈련비 투자는 2007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2007년 교육훈련비 투자의 경우 2009년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1인당 교육훈련비 투자는 1인당 당기 매출액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이지만, 1인당 당기 순이익 증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교육훈련비 투자는 생산성 효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고있지만, 재무적 성과는 입증하지 못한 한계가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생산성 및 수익성 모형에 기초하여 1인당 교육훈련 투자의 물리적, 재무적 효과를 입증할 필요가 있고, 교육훈련 방법과 기간, 정부지원사업의 영향 등과 같은 내생성을 통제하는 효과적인 모형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ducational investmen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on their outcomes in terms of individual sales and net profit, using Korea Labor Institute`s Longitudinal Data from 2005 to 2009. In the result, the investmen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 of manufacturing has impacted the following investment through the years. However, the impacts of investment had positively influenced the sales despite it had not dealt with net profit though the years. Especially, the influence of investment had limited impacts on the productivity, which means it had to do with sales only, not added valu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mplicated that current investment needs to be analyzed based on both productivity and net profit. Furthermore, the productivity should be analyzed in terms of sales and added value for individual. To get more valid outcomes, various endogeneity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time duration, educational method, and contents should be controlled. The study has limited validation of educational invest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on the outcomes, and therefore, new study design based on previous studies needs to be imple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