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중앙선관위의 선거관리, 그 중에서도 홍보활동의 목표를 정당성, 평등성, 자유 확보로 설정하고, 유권자 투표참여 유도 및 유권자 알 권리 충족을 기준으로 선관위의 홍보활동이 이를 충족하였는지를 평가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19대 총선에서 중앙선관위는 중립과 공정성의 가치는 지키면서, 후보자와 유권자 간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선거를 관리하면서, 유권자의 자발적인 투표참여 유도, 후보자에 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 제공, 그리고 준법·공명·매니페스토 정책선거 확산을 홍보활동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활동의 결과, ``유권자 투표 참여 유도’는 다양한 홍보매체를 통해 이루어졌는데, 그 중 TV광고가 가장 효과적인 매체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관위의 투표참여 독려 홍보는 유권자들에게 그다지 영향력이 높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유권자 알 권리충족’의 경우, 선관위가 유권자에게 제공했던 선거제도 관련 정보는 어느 정도 충분하였지만, 매니페스토 운동의 경우 아직 대부분의 국민이 이를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니페스토 운동을 인지한 경우에는 선관위의 홍보활동이 어느정도 영향력이 있었다. 향후 선관위 홍보활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유권자의 이용 용이성과 정보성을 향상시키며, 둘째, 유권자에 대한 정보 제공 측면에서 선거 자유를 확대하고, 셋째, 중앙선관위의 신뢰성을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aims at evaluating the electoral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public relation activity of National Election Commission(NEC) in the 19th Election for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democratic legitimacy, equality and freedom. For meeting this goal, this study evaluates the PR performance of NEC in terms of encouraging voters to exercise their ballots and providing the public with accurate and timely information. As a result, the former has not been so effective in making people participate in voting. In case of the latter, the NEC has provided enough information, but ``policy-oriented campaign (Manifesto)`` has not been pervasive in the public.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relations in the NEC, it is need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for voters, promote the freedom of election and expression, and restore the credibility of N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