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69
18.97.9.169
close menu
Accredited
``단위학교의 교사 사기진작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강원도의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eachers`` Recognition on ``Methods for Increasing Morale in Schools`` -Based on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 Province-
신동훈 ( Dong Hun Shin )
UCI I410-ECN-0102-2013-370-002123159

연구는 강원도 내 초등학교 교사의 사기진작 방안을 분석하여 전체적인 경향과 특징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현장 교사가 느끼는 만족도 및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강원도 내 초등학교 151개교에서 실제운영하고 있는 사기진작 프로그램과 230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토대로 빈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및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위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기진작 방안의 영역별 빈도는 근무여건 개선, 복지 증진, 학교경영 민주화 영역 순이었고, 이것은 교사들이 선호하는 것과는 큰 차이가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의 사기는 전반적으로 낮은 것(5.00점 만점에 평균 2.72)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이유로는 교권에 관한 문제, 근무여건에 관한 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교사의 직무역량 발휘와 사기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평균 4.41)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당해 학교의 사기진작 방안에 대한 인지도(평균 3.14)와 관심도(평균 3.51)는 이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교사들이 선호하는 사기진작 방안의 영역은 학교경영 민주화, 교권 신장, 근무여건 개선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기진작 방안의 도출(협의)과정, 교사 구성상의 특성 반영, 방안의 적절성 추진과정 추진결과에 대한 교사의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논의의 결과 교사 사기진작 방안의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교사 사기진작에 대한이해와 관심의 증진, 둘째, 사기진작 방안의 도출과정에서 교사의 참여와 민주적인 협의과정 필요, 셋째, 학교나 교사의 특성을 반영하는 맞춤식 방안 추진 필요, 넷째, 단기적인 대안뿐 아니라 심리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중 장기적인 대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general tendencies and features of methods for increasing teachers`` morale, to determine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morale increasement system of elementary schools in Gangwon Province. The collected data originating from a survey of 230 teachers and basic material from 151 elementary schools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s`` preference for method to increase morale were working conditions improvements, welfare extension, democratic school administration in order, thus showing a big difference from the teachers`` order.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s morale was generally low (mean 2.72, max 5.00) due to a lack of recognition of teachers`` rights and working conditions. Third, their morale and job-competence had a close co-relationship (mean 4.41), while the degrees of their recognition and interest in methods to increase morale encouragement are on mean 3.14 and 3.51 respectively. The methods that teachers prefer to increase morale were democratic school administration, teachers`` rights improvement, and working conditions improvements in order. Fourth, the teachers`` satisfaction of methods to increase morale was a average score in every response for conference procedures, consideration of teachers`` characteristics, its promotion, and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eachers`` moral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extension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teachers`` morale encouragement; Second, the necessity of teachers``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conference procedures; Third, the need of optimal ways based on schools and teachers characteristics; Fourth, the search for long-term alternatives as well as short-term method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