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서울 경기지역 성인의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의 섭취 현황과 소비자 만족도
Status of Consump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among Adult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황혜진 ( Hye Jin Hwang ) , 김수연 ( Soo Yeon Kim ) , 김연진 ( Yeon Jin Kim ) , 서정연 ( Jung Yeon Seo ) , 박정화 ( Jung Wha Par )
UCI I410-ECN-0102-2013-590-00220669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의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시장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소비자들이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을 올바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재 시판 중인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의 식이섬유 함유량을 비교해 본 결과, 1회 식이섬유 함량이 다양하였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의 섭취 여부를 조사한 결과, 사무직 종사자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의 섭취 비율이 높았다. 비흡 연자에서 섭취비율이 높았으며, 건강인 및 변비를 가지고 있는 그룹의 섭취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의 소비패턴을 조사하기 위해 구매동기, 구매장소, 구매하는 제품의 성분, 섭취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구매동기는 ``건강 염려``라는 응답자의 수가 가장 많았으며, 구매장소는 인터넷, 마트, 약국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구매하는 식이섬유 보충제품의 성분은 곤약, 셀룰로오즈, 차전자피의 순으로 나타났다. 섭취기간은 1~2주로 비교적 단기간 동안 섭취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 섭취자를 대상으로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의 맛과 형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반면, 가격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5.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의 성분에 따른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상위 네 개의 성분인 곤약, 셀룰로오즈, 차전자피, 보리·밀 식이섬유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소비자가 인지하는 체내 기능에서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에 표시할 수 있도록 규정된 기능성 내용과 소비자가 인지하는 기능성 내용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고, 소비자 인지 기능 만족도 조사 결과, ``배변활동``과 ``체중감량``에 대해서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2004년부터 시행된 건강기능식품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의 영업종류 및 관리에 대한 규제가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바뀌어 관리되면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점차 증가하였고, 제품에 대한 만족도 역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Kim 2008). 따라서 식이섬유 보충용 제품에 대해서도 본 연구에서 낮게 나타난 가격 및 효능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원료 및성분에 대한 규격 강화와 제품의 과대, 허위광고 등을 철저히단속해야 할 것이다. 본 결과를 활용하여 소비자들이 올바른 식이섬유 보충제품뿐 아니라, 일반적인 건강기능식품을 올바르게 선택할 수있도록 제품의 기능, 가격, 구매방법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건강기능식품의 남용 및 무분별한 섭취를 방지하기 위한 영양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해 보다 향상된식이섬유 보충제 제품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tus of consump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corded questionnaire develop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ho have taken dietary fiber supplements in the past are as follows: distributions of socioeconomic variables showed that the highest-ranked group (the group that reported the highest consumption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was professionals with a college degree or higher degree. In addition, the highest-ranked group were the most healthy, nonsmokers and reported drinking habits of ``1~2 times/week``. Regarding the health status of those surveyed, digestive disease and constipation were the most common complaints. The majority responded with ``health concerns`` to the question that asked the reason for their purchase of the dietary fiber supplements. Three major places respondents could find dietary fiber supplements were ``through the internet``, ``the market``, ``the pharmacy`` in descending order. The compositions of dietary fiber products varied. ``konjac``, ``cellulose``, ``psyllium husks`` were the most popular components consumed by the subjects. The average duration of product consumption was less than one month. In terms of satisfaction levels (satisfaction was ranked from 1 to 5), ``taste`` and ``type`` scored the highest in satisfaction levels while ``price`` ranked the lowest. When subjects were asked about self-awareness regarding the physiological efficacy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the responses were positive in ``bowel movement`` and ``weight los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dietary fiber supplements in order to assist consumers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produc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