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PFA (platelet function analyzer)-100을 이용한 혈소판 기능장애의 평가
송신한 , 김민근 , 김재석 , 양재원 , 최승옥 , 한병근
UCI I410-ECN-0102-2013-510-002459316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배경: 만성신부전환자에서 응고 장애는 이미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어 있으며 이는 응고 인자의 정상적인 또는 증가된 수치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며, 또한 정상적인 혈소판 수에도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Platelet function analyzer-100 (PFA-100)은 혈소판 응괴 (plug)를 형성하는 동안 혈소판 부착과 응집의 고전단력 (shear)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혈소판 기능 평가를 위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신기능의 변화에 따라 PFA-100의 closure time 에 미치는 영향과 실제 출혈경향을 반영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0년 9월까지 6개월 동안 신장내과를 내원한 환자 중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에서 PFA-100 검사 (PFA-CEPI, PFA-CADP) 및 일반 혈액 검사, 혈액 응고인자 (vWF, factor VIII, factor IX), 혈액 응고 검사 (PT, aPTT, fibrinogen), BUN, creatinine를 시행하였다. 결과: 총 65명의 환자에서 PFA-100이 시행되었으며 연령은 평균 54.18±19.37세이었고, 남자가 27 명 (41.5%)이고 여자가 38명 (58.5%)이었다. 기존질환은 당뇨병이 31명 (47.7%), 고혈압은 46명 (70.8%)이었고, PFA-CEPI가 증가된 환자는 29명 (44.6%), PFA-CADP가 증가된 환자는 30명 (46.2%)이었다. PFA-CEPI가 정상인 군에 비해 증가된 군은 혈색소(p=0.002), 혈소판 (p=0.000), 사구체 여과율(p=0.002), 응고인자 IX(p=0.031)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다. PFA-CADP 가 정상인 군에 비해 증가된 군은 혈색소(p=0.018), 혈소판(p=0.007), 사구체 여과율(p=0.031)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낮았다. 하지만 선형회귀분석에서는 혈소판 (p=0.011, p=0.049) 외에는 통계학적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PFA-100 검사는 신기능의 변화보다는 혈소판 수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신기능 저하에 따른 혈소판 기능이상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