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9
18.97.14.89
close menu
위출구 폐쇄를 동반한 진행성 위암에서 스탠트 삽입 후 발생한 위 천공의 스탠트 재 삽입을 통해 호전된 1예
안혜미 , 박상현 , 이정민 , 이봉규 , 이남훈 , 서영호
UCI I410-ECN-0102-2013-510-002466808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서론: 외과적 수술이 불가능한 위암 환자에게 내시경적 스탠트 삽입술은 삶의 질 향상에 큰 도움이 되고 있지만 시술 후 스탠트 이동이나 시술부위의 출혈, 천공으로 재시술을 요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합병증 중 천공이 생기면 단순흉부 방사선 촬영으로 위장관 외부의 공기음영을 확인해 외과적 수술 혹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다. 저자들은 위출구 폐쇄를 동반한 진행성 위암에서 스탠트 삽입 후 발생한 위 천공을 스탠트 재 삽입과 보존적인 치료로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진행성 위암 진단을 받은 78세 여자가 식욕감퇴와 구토 증상 하에 내원하였다. 생체 징후 안정적이었고, 과거력 상 진행성 위암 진단을 받은 것 외에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복부 진찰 상 압통이나 반발통은 없었다. 혈액 검사 상 백혈구 2900/mm3, 혈색소 6.0 g/dL로 혈색소 낮아 1차례 rbc수혈 시행하였다. 위 출구 폐쇄 확인을 위해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해 폐쇄부위에 스탠트(7cm partial covered SEMS) 삽입 시행하였고, 시술 직후 복부 팽만 및 통증 있어 확인한 단순흉부 방사선 촬영상에서 기복증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바로 다시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했고 천공여부 확인위해 스탠트 제거하고 관찰하였다. 내시경에서 육안상 천공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협착 상단에 있는 악성 궤양의 저부가 스탠트 삽입으로 천공 유발된것으로 추정해 볼수 있었다. 이에 더 길이가 길어 궤양 저부를 덮을 수 있는 스탠트(9cm partial covered SEMS)를 삽입 후 보존적 치료 및 추적 관찰하기로 하였다. 이 사이 18G medicut으로 복부 타진상의 공명음이 증가된 부위에서 복강 내로 세어 나가는 공기를 흡입하였으며 항생제(ceftriaxone, ciprofloxacin, clindamycin) 정주하면서 금식 유지하고 단순흉부 방사선 촬영 및 혈액 검사 시행하였다. 이 후, 신체 징후는 안정적 이였으며 혈액 검사 상에 백혈구 3600/mm3, 혈색소 12.0 g/dL으로 이상 없었고 단순흉부 방사선 촬영에서 공기음영 점점 감소하는것 확인되었다. 10일 가량 안정적인 상태 보여서 공기 누출 여부 확인 위한 상부 위장관 조영술(gastrografin) 시행하였고 조영제의 복강내 누출은 보이지 않아 조심스럽게 식이 시행한 후 복통 없고 안정된 상태로 외래 경과 관찰중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