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찌아찌아족이 2009년 한글을 차용한 것을 놓고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그 논의들이 인도네시아의 정치·사회적 변동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경우는 극히 드물다. 더구나 찌아찌아족의 현재 한글 교육 실태에 관한 문제는 아예 논외로 되어 버린 상황이다. 따라서 본고의 기술 목적은 네가지이다. 첫째, 1999년 인도네시아 지방자치법 제정과 민주화 문제를 한글 차용과 연관시켜 고찰해 본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장의 결단이 한글 차용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셋째, 로마자 알파벳을 공식 문자로 삼고 있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지방자치 단체에서 단행한 한글 차용이 인도네시아 헌법과 언어법에 저촉되는 문제는 아닌지 살펴본다. 끝으로 현지 설문조사를 통해 찌아찌아족의 현재 한글 교육 실태와 한글 교육에 대한 현지 주민들의 여론을 파악해 본다.
In perspective of the Cia-Cia tribe`s adoption of Hangul in 2009, a diversity of opinions from various circles were discussed. However, the opinions were less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of Indonesia. To add, it has never been examined on the use and realities in education of Hangeul among the Cia-Cia tribe. This study has four objectives. Firstly, this study determines a correlation between the introduction of Hangeul with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enactment of Indonesian Regional Autonomy Law in 199. Secondly, it argues the decision of the regional government, hence the conclusive factor to the adoption of Hangul. Thirdly,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Hangeul in the Republic of Indonesia which officially adopted the Roman alphabet, based on related provisions in Constitution and Language Act. Lastly,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Hangul education and local public opinions about the Hangeul education, in this study questionnaire based survey method was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