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수용전념치료가 평가염려 완벽주의적 대학생들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경험 회피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Experiential Avoidance, and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김정은 ( Jeong Eun Kim ) , 손정락 ( Chong Nak Son )
UCI I410-ECN-0102-2012-180-00303511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적 대학생들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경험 회피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소재 대학교의 400명 대학생들에게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F),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H),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수용-행동질문지,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 18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치료집단에 9명, 대기통제집단에 9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ACT)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6주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대기 통제 집단보다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및 경험회피가 감소되었고, 자기효능감은 향상되었으며, 그 수준은 추적 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experiential avoidance, and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Four hundred university students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Multi 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Multi 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BFNE),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AAQ-16) and Self-Efficacy Scale. Eighteen pati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ACT group and control group (nine each).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eight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Multi 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Multi 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Brie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BFNE),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AAQ-16) and Self-Efficacy Scale at pre-test, post-test, and at 6 week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of therapy group decreased in the therapy group more than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self-efficancy increased in the therapy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