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Character Strengths and Mental Well-being
임영진 ( Young Jin Lim )
UCI I410-ECN-0102-2012-180-00303506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 검사의 요인구조를 파악하여 한국의 대학생에게 있어 24개 성격강점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하위강점과 상위미덕이 정신적 웰빙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 1에서는 성격강점 검사를 대학생 361명(남 203, 여 157)에게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4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2에서는 24개 하위강점과 연구 1에서 도출된 4개 상위미덕이 정신적 웰빙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서 대학생 154명(남 55, 여 99)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2의 결과, 4개 상위미덕 중에서 관계적 미덕이 정신적 웰빙과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으며 24개 하위강점 중에서 낙관성이 정신적 웰빙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Within this study we used self-reporting measures completed by 361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wo Korean universitie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Peterson and Seligman(2004)`s classification system of 24 character strengths and six virtues. The author also looked at how the 2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relate to the measure of mental well-being in 154 students from Korean universities. Using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haracter Strengths Test(CST), the author found that these 24 character strengths did not produce a factor structure consistent with the six higher order virtues as proposed by Peterson and Seligman(2004). Instead, the 24 character strengths were best explained by a four factor solution. When investigating individual character strengths, optimism/hope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 with the mental well-being. Of the four factors, Interpersonal Strengths (with social intelligence, humor, kindness, and love as indicators) had the strongest associations with mental well-being.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variability of benefits linked with particular strength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