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9
216.73.216.169
close menu
KCI 등재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이지현 ( Jee Hyun Lee ) , 전홍주 ( Hong Ju Jun ) , 박은혜 ( Eun Hye Park )
UCI I410-ECN-0102-2012-370-00304354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현재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가교육과정의 언어 교육내용의 연계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유치원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의 수준별 내용 44개 항목과 누리과정 의사소통영역의 세부내용 25개 항목 및 초등교육과정 1학년 국어과의 성취기준 22개 항목을 대상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및 문학 영역에서의 연계 정도와 연계 형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교육내용 연계의 정도는 5세와 6세 간에 비하여 3·4세와 5세 간에 더 높았으며, 연계의 형태는 각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듣기와 말하기 영역에서는 3·4세와 5세 간에 자료와 행위 모두 계속성과 계열성이 비교적 양호한 반면 역행으로 계열성이 위배되는 비율도 상당부분 나타났다. 5세와 6세 간에는 자료와 행위에 있어 계속성은 양호하였으나 확대나 심화에 비하여 역행이 훨씬 더 많이 나타나 계열성의 문제가 심각함을 지적할 수 있다. 읽기와 쓰기 영역에서 3·4세와 5세 간에는 연령수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동일 수준의 반복이 강조되는, 반면 5세와 6세 간에는 동일 요소의 반복 없이 내용수준의 변화가 급격하게 나타났다. 문법과 문학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연계의 정도가 미미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유초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현행 교육과정은 유아들의 언어발달 과정을 제대로 반영한다고 볼 수 없으며 연령별 언어교육내용의 기준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language curricula i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Nuri Curriculum,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The degree and the form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in each area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were analyzed. As a whole, the degree of the continuity in educational contents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Nuri curriculum was higher than that between the Nuri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In the listening and speaking areas,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curricula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Nuri were relatively good but the proportion of the retrogression was quite high, while the sequence of the curricula between Nuri and the first grade was distorted. In the reading and writing areas, there were a lot of repetitions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Nuri, while there were a drastic increase in the level of content between the Nuri and the First grade curriculu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for young children, the current curricula do not reflect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al process and the necessity for provision of the content standards for language curriculum for each age level was rai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