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7
18.97.14.87
close menu
Candidate
통합시의 생산성 증대효과 분석 - 공공 산출물의 측정모형의 적용을 중심으로 -
김대원
UCI I410-ECN-0102-2009-350-009600038

통합의 논거로 인식되고 있는 統合構造論은 分節構造論에 비해 상대적 우위에 있다는 규범적 주장은 있었지만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통합시의 생산성 효과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통해 시·군통합의 타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따라서 공공 산출물의 계량적 측정이 본 연구의 핵심을 이룬다. 그런데 공공 산출물의 측정에 있어서 질적 산출물은 계량화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는 질적 서비스의 대체변수로 행정 서비스에 대한 주민 만족도를 이용하여 통합시의 생산성을 측정한다. 먼저, 주민 만족도와 관련된 9개의 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Likert 척도에 의해 자료를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Hatry 등이 제시한 측정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성 지수를 구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