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 실시이후 자치단치장의 판공비 용도의 필요성 여부를 두고 일반주민과 시민단체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학습적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판공비 용도의 중요성을 염두에 두고 결정과정 및 지출결과에 대한 분석을 개별적으로 시도하였다. 과정분석은 판공비 결정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참여자들간에 벌어지는 역동적 과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판공비 지출결과는 행정에서 중시되고 있는 가치인 합법성, 형평성, 합목적성, 투명성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초자치단체장의 판공비 지출은 전반적으로 이러한 가치기준을 충족하는데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판공비가 공적용도가 아닌 자치단체장의 사적용도로 남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기초자치단체장에 따라 이러한 가치기준의 준수여부에 있어 커다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는 판공비의 결정 및 지출과정에 있어 발생하는 부정적 요인을 제거하는데 관심이 모아져야하며 동시에 향후 이의 존치여부에 관해서도 심도있는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