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은 루저를 사랑한다. 골리앗을 물리친 다윗에게 환호한다. 대중은 스스로를 사회의 약자며 희생자라고 여기며 거대한 것을 증오한다. 이는 인류의 보편적 경향이자 칼 구스타프 융이 말한 집단무의식의 발로이다. 영화 관객 역시 그러하며 영화도 그러한 주인공을 내세운다. 융에 의하면, 인류에게는 고대로부터 존재해온 보편적 심상, 즉 원형이 있으며, 현대인의 무의식 내용물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고대인들의 정신의 산물과 비슷한 것을 원형적 이미지라고 한다. 원형은 하나의 모티프를 어떤 표상으로 형성시키는 경향을 말한다. 한국 영화관객도 루저/약자에 대한 모티프를 어떤 표상으로 형성시킨다. 이와 같은 현상은 관객의 반응으로 읽을 수 있다. 500만 관객 이상이 찾은 한국영화의 주인공 캐릭터를 살펴보면 그 경향성을 알 수 있고, 특히 1천 만명이 넘는 관객이 본 한국영화는 이를 증명해준다. <왕의 남자>는 주인공뿐만 아니라 적대자마저도 루저이자 약자로 설정한다. 주인공은 남사당패에서 줄을 타는 광대이고 적대자는 조선의 왕인 연산이다. 왕이긴 하지만 연산은 신하들의 권력과 술수로 인해 옴짝달싹 못하는 왕이며, 어머니는 폐비로서 사약을 마시고 죽었기에 어머니의 품을 모르고 자란 인물이다. 임금으로서의 페르소나가 비대해진 연산에게 두 광대는 인격의 다른 측면을 발현할 기회를 제공한다. 주인공 광대 공길이 벌이는 인형 놀이와 그림자 놀이로 인해, 적대자 연산은 자신의 그림자와 대면한다. 그림자란 인격 발달 과정에서 억압되어 개인무의식 안으로 밀려난 부정적 측면을 말한다. 주인공에게 적대자인 연산 자신도 대비와 중신 등의 적대자에 갇혀 있는 처지다. 연산의 그림자는 자신의 적대자들에게 파괴적으로 움직인다. 광대공길은 남성인 연산 안에 침전해있는 여성적 요소인 아니마도 불러일으킨다. 영화 속 인물 중 주인공 광대 공길은 연산의 무의식 세계에 있던 긍정적 아니마의 현현이며, 녹수는 부정적 아니마의 현실태이다. 연산은 결핍과 억압의 요소로 인해 삶의 통과의례를 제대로 통과하지 못한 존재로서 그려지고, 왕으로서 만인지상의 자리에 있지만 주인공 광대보다 못한 결핍의 아이콘으로 관객에게 다가온다. <왕의 남자>에서 연산은 적대자임에도 불구하고 루저이자 약자다. 적대자 캐릭터인 연산을 위로해주는 건 오히려 주인공인 광대밖에 없다. 기실, 연산은 궁에서 광대 역할을 하는 존재에 불과하다. 그래서 애처롭고, 주인공 광대와 더불어 관객의 감정이입의 대상이 된다. <왕의 남자>는 한국영화 속 등장인물인 루저/약자에 대한 애착 정도를 관객의 반응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관객의 반응 이면의 개인무의식 아래에 놓여있는 역사적 문화적 경험이 축적된 거대한 집단무의식의 일단을 유추해볼 수 있는 표식이다.
Jun-ik Lee`s The King and the Clown (aka Wang-ui namja, 2005) features two clowns as protagonists and a king as antagonist. This polarity is an essential principle of storytelling to create conflict, tension, and audience involvement. As the story begins, the clown buddies kill the manager of the entertainer troupe and flee to Hanyang (the capital of Chosun Dynasty) to get a second chance of their life. They are scouted by the King`s servant, Choseon and have a mission to either make the King laugh or to be executed. The clowns barely save themselves with one last joke at the King, and then be part of the King`s court. Until the King falls for the effeminate Gong-gil, one of the clowns, the protagonists have drive to lead the story and connect audiences to them emotionally. They have a goal and some obstacles to complete journey of heroes the same as other stories have. The clowns are losers and underdogs in the rigid social hierarchy. Many people tend to feel empathic toward underdogs as we have admired the boy David who defeated the giant Goliath. We identify ourselves with a victim who is scarified by someone or entities bigger than us. The King functions as an antagonistic character against two clowns. At the same time, the King is surrounded by several antagonists: the Council Members, concubines, etc., who tries to manipulate himand protect their interests. Ironically, only Gong-gil, one of the protagonists, sympathizes with the King and performs puppet shows for him. Gong-gil functions as an ally for the King. He helps the King encounter his shadow. The King has shown only the public persona as a ruler in contrast to his real character or nature. In Carl Jung`s theory, the ``shadow`` is the negative side of the personality and unpleasant qualities we like to hide. To confront a person with his shadow is to show him his own light. In addition, he has become his anima, which is a contrasexual archetype. In a man, the anima typically presents herself in the form of a woman who stirs the emotions intensely. Gong-gil presents the positive anima of the King and Jang Noksu, the King`s favorite concubine, the negative anima. However the King`s shadow takes him to be self-destructive. Though he is an antagonistic character, the King undergoes a process of a pattern of transformation and doesn`t succeed in his rites of passage, like the tragic heroes in other stories do. In fact, the King is a kind of clown in his court and loser or underdog, who qualifies to arise intense emotions both in the protagonist, Gong-gil and the audience. The King and the Clown is set in the polarized category such as hero and villain as usual, but one of the main characters understands and assists in the antagonist`s psychological quest and leads audiences to empathize with the antagonistic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