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천식은 ΔFEV1≥12%로 정의되는 기도가역성 여 부를 평가하여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학동 전기 소아에서는 노력성 호기 호흡이 1초 이내에 끝나는 경우가 많아 FEV1 이외에 FEV0.75나 FEV0.5의 평가가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식 진단 및 기도가역성의 측정에 대한 FEV Δ 0.75와 FEV Δ 0.5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 천식 아토피 클리닉에 내원한 7세 미만의 학동 전기 연령 401명의 천식군과 15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반적 특성과 폐활량 검사 결과를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의사에 의해 천식으로 진단받은 환자들 중 최근 1년 동안American Thoracic Society (ATS)증상설문지 5개 중 4개 이상 해당하는 경우를 천식군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ΔFEV1, ΔFEV0.75 그리고 ΔFEV0.5는 천식군에서 6.2 (1.1-11.9), 7.3 (1.8-13.3), 8.8 (2.4-15.8), 대조군에서 2.3 (-0.7-4.9), 3.3 (0.6-6.6), 5.1 (1.0-9.5)로 모두 유의하게 천식군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ΔFEV1, ΔFEV0.75, ΔFEV0.5을 12%를 기준으로 나눈 후 천식 진단에 대한 ROC곡선을 이용한 AUC 비교 분석에서ΔFEV1은0.60 (95%신뢰구간, 0.57-0.62), ΔFEV10.75는 0.61 (0.58-0.65), ΔFEV0.5는 0.60 (0.56-0.64)로 세 변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천식 진단에 대한 절단값은 ΔFEV1는 8.6%, ΔFEV0.75는 7.9% 그리고 ΔFEV0.5는 14.2%였다. 또한 ΔFEV1≥12%를 정의로 하는 기도가역성을 예측하는 것에 대한 ΔFEV0.75와 ΔFEV0.5의 ROC곡선을 구하였을 때 ΔFEV0.75는 0.91 (0.88-0.94), ΔFEV0.5는 0.77 (0.73-0.82)였으며, ΔFEV0.75가 유의하게 더 큰 AUG값을 보였다. (P<0.0001) 절단 값은 ΔFEV0.75는 12.3%, ΔFEV0.5는 13.4%였다. 기도가역성을 ΔFEV1≥8.6%으로 정의하였을 때도 ΔFEV0.75의 는 AUC 0.90 (0.87-0.92), ΔFEV0.5는 0.79 (0.75-0.82)로 ΔFEV0.7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AUC 값을 보였고 절단값은 ΔFEV0.75는 8.4%, ΔFEV0.5는 11.3%였다. 결론: 학동기전 연령 소아에서 ΔFEV0.75 또는 ΔFEV0.5는 천식 진단과 기도가역성의 측정에 있어서 ΔFEV1를 대체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Preschoolers complete forced expiration in a short time, sometimes more quickly than in 1 second, an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forced expiatory volume in 0.75 seconds (FEV0.75) or forced expiatory volume in 0.5 seconds (FEV0.5) has been rai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FEV Δ 0.75 and ΔFEV0.5. Methods: We analyzed 401 subjects of an asthma group, and 150 subjects of a control group under 7 years of age, Results: ΔFEV1, ΔFEV0.75 and ΔFEV0.5 values of the asthm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P<0.0001). ΔFEV 1 (0.60; 95% confidence interval [CI], 0.57 to 0.62), ΔFEV0.75 (0.61; 0.58 to 0.65), and ΔFEV0.5 (0.60; 0.56 to 0.64)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agnostic ability of asthma when airway reversibility is defined as ΔFEVt ≥12% Cutoff values for asthma were 8.6% in ΔFEV1, 7.9% in ΔFEV0.75 and 14.2% in ΔFEV0.5. ΔFEV0.75 (0.91; 0.88 to 0.94)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rea under curve (AUC) than ΔFEV0.5 (0.77; 0.73 to 0.82) when stratified by 12%, in predicting airway reversibility defined as ΔFEV1 12%. Cutoff ≥ values were 12.3% in ΔFEV0.75, and 13.4% in ΔFEV0.5. When airway reversibility is defined as ΔFEV1≥8.6%, ΔFEV0.75 (0.90; 0.87 to 0.92)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UC than ΔFEV0.5 (0.79; 0.75 to 0.82), and Cutoff values were 8.4% in ΔFEV0.75, and 11.3% in ΔFEV0.5. Conclusion: ΔFEV0.75 or ΔFEV0.5 can be a means to replace ΔFEV1 for diagnosis of asthma and assessment of airway reversibility in preschool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