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제국과 다중이라는 두 가지 핵심어를 통한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다문화주의를 바라보고, 그 실천적 방안으로써 비판적 다문화교육론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로써 첫째, 다문화사회와 제국주의의 역사적 관련성을 논의하고, 둘째, Negri(2004)가 제시한 다중의 개념을 바탕으로 다문화사회의 사회구성과 민주주의의 실현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셋째, 다문화사회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다문화주의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에 대한 비판적 재고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비판적 다문화교육론에서는 다중 사회에 기반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첫째, 다문화교육이 다루어야 하는 핵심적인 논점들인 차이와 편견, 자유와 평등, 그리고 정체성과 소속감 문제에 대한 비판적 재인식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둘째, 다문화교육의 내용범주, 다문화교육에서 다루는 문화 개념 및 노동 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문화교육의 방법론에 관해 다문화교실의 다양성, 교육적 형평성, 그리고 교사의 역할 차원에서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지금까지의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학계와 교육계의 이해가 비판적으로 재검토되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wo-fold: A critical discussion on multiculturalism and the suggestion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this paper discusses multicultur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Theory, based largely on two key words, i.e., Empire and Multitude. In doing so, this paper juxtaposes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history of imperialism and introduces Negri`s (2004) argument on Multitude. In addition, this paper critically comments on the various viewpoints of our society on multiculturalism. Second,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by discussing 1) the core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g., difference & prejudice, freedom & equality, and identity & belongings, 2) some critical viewpoints regarding the content,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the roles of teachers for employ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will provide a new paradigmatic viewpoint on the hitherto understanding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