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교육철학에서 자연과 자연교육은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개념이다. 동양의 자연과 서양의 자연개념을 비교 분석하여 개념의 융합을 꾀하는 것은 자연교육론의 명료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동서양의 대표적 자연사상가인 노자와 루소의 자연개념을 탐구했다. 『도덕경』과『에밀』에 나타난 자연개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특히 공통점을 중심으로 자연개념을 융합해서, 정리했다. 그 통합된 개념을 바탕으로 한 자연교육의 의미를 재해석할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객관적 자연은 제외하고, 주관적 자연의 다양한 관점과 의미를 논의했다. 그 이유는 노자와 루소의 자연이 주로 관념적·심리적·원리적·비판적 자연의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분석방법은 분류체계분석의 ``개요`` 전개방식을 선택했고, 범주를 준거로 노자와 루소의 자연개념을 분석했다. 하시모도, 구와바라, 먼로, 안인희의 자연개념 분류를 참조해서 네 가지 범주를 추출했다. 그 범주는 ``본성으로서의 자연``, ``심리로서의 자연``, ``선성으로서의 자연``, ``무위로서의 자연``이다.
Nature & natural education is the staple concept in contemporary educational philoso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s of nature of Lao-tzu with that of Rousseau, to analyze and integrate them so as to clarify theories of natu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to research something in common and to make clear the difference for nature of Lao-tzu and Rousseau centering on『Taoteching(道德經)』&『Emile』. Especially integrated concepts of nature were resettled centrically. Based on those of nature, meanings of natural education could be remade inferences. This study was to discuss meanings and perspectives of subjective nature except those of objective nature. Nature of Lao-tzu and Rousseau is ideal, psychological, fundamental, and critical nature. Analytic method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approach of outline description as category that is tool of analysis. Nature as origin, nature as psychology, nature as goodness, and nature as inaction are four categories, which were extracted from classifications of Hasimodo(橋本), Guwabara(桑原武夫), Monroe, and Inhi Ahn(安仁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