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도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특성 분석
Analy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Child Interaction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ypical Korean Families
박임자 ( Im Ja Park ) , 이경숙 ( Kyung Sook Lee )
UCI I410-ECN-0102-2012-180-00311431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어머니와 유아 상호작용을 구조화된 상호작용 평가도구인 협동구성과제(Steel, D`Agostino, Blom, 2005)를 이용하여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도시에 거주하는 취학 전 다문화가정의 만 3~6세 유아와 그 어머니 21쌍, 이들과 동일한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가정의 만 3~6세 유아와 그 어머니 21쌍이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특성을 비교한 결과 ``어머니의 전반적인 행동``과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행동``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일반가정 어머니가 유아와 상호작용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어머니-유아 상호작용과의 상관성 분석에서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아버지의 교육수준 그리고 경제수준이 어머니와 유아의 행동특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유아의 행동특성과 어머니-유아 행동특성 하위영역인 ``균형성 및 협동성``, ``창의성``, ``전반적 상호작용``, ``과제 지속성``, ``과제로의 전환``과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지 알아 본 결과 일반가정 어머니와 유아가 쌓은 블록이 더 창의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과제 지속성도 일반가정 유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어머니 민감성과 유아의 행동특성과의 관계에서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일반가정 어머니에 비해 민감성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을 일반가정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질적 관찰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어머니와 유아 두 대상을 모두 포괄하는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child interaction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ypical Korean families. The co-construction task (Steel, D`Agostno, Blom, 2005) appraisal for structured mother-child interactions was videotaped and analyz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other-child interaction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ypical Korean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1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ged three to six of multi-cultural families residing in urban areas and 21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ged three to six of typical Korean families residing in the same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Parent Global Ratings and Dyad Ratings between the two groups; mothers from typical Korean families showed more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found that education levels of parents and economic levels of familie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typical Korean families, a negative correlation was only indicated between economic levels of the families and nonverbal behaviors of children. Third, in terms of relations between mother-chil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sub-domain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balance & cooperation, creativity, overall interactions, task persistence, and task switching, mothers and children from the typical families stacked blocks more creatively and the level of task persistence was higher among children from the typical families. Fourth,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ensitiv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children, mothers from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dicated significantly low sensitivity compared with mothers form the typical famil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