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대상의 매개 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obj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Empathy Perceiv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이종연 ( Jong Yeun Lee ) , 김복미 ( Bok Mi Kim )
UCI I410-ECN-0102-2012-180-00311425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 공감 및 자기대상이 학교적응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자기대상이 부모 공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는 여중생 25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 공감이 높을수록 자기대상 수준과 학교적응 수준이 높고, 자기대상 수준이 높을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대상은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중생이 지각한 부모 공감은 학교적응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자기대상을 거쳐 학교적응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여중생들이 학교에 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부모뿐만 아니라 가정과 학교, 사회에서 이들에게 공감과 자기대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 empathy perceiv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elfobject, and school adjust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ir selfobj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 empathy and school adjustment. Two hundred fifty nin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showed that (a)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 empathy perceiv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elfobject, and school adjustment; and (b)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obj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empathy perceiv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ol adjustment were supported. These results mean that parent empathy perceived by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does not directly have impac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but only through selfobject. It is suggested that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need to have opportunities which they can experience selfobject in home, school, and community throughout their lives. as well as parent empathy for their better school adjust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