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 유학생이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효과적인 적응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목표지향성을 상태적인 개인차 변인으로 개념화하고 이러한 개인차가 유학생의 적응과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한 대학교에 입학한 62명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상태적인 학습목표지향성은 유학생들의 적응 및 학업수행 그리고 더 나아가 소속학교에 대한 정서적인 몰입과 한국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목표지향성이 기대부응이론에 근거한 교차문화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절하는 가를 알아본 결과, 상태 학습목표지향성이 낮은 경우에는 기대부응이론에 근거한 교차문화훈련이 학업수행에 도움이 되지만, 상태 학습목표지향성이 높은 경우에는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다른 준거변인들에 대해서는 이러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가 유학생의 적응 및 상태 학습목표지향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현장 적용에 대해 가지는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tudy conceptualized learning goal orientation as a state individual difference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state learning goal orientation on adjustment and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Data from 62 international students in one university collected over one semester showed that state learning goal orientation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adjustment, academic performance, affective commitment, and attitude to Korea. Also, the study examined whether state learning goal orientation moderated the effects of cross-cultural training based on met expectations hypothesis. The interaction was significant for academic achievement. The interaction pattern suggested that the only those who had a low state learning goal orientation got the benefits of the cross-cultural training based on met expectations hypothesis while the training might have negative effects on those with a high state learning goal orient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on adjustment and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well as state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