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정치적 리더십의 핵심 개념으로서 권력과 권위에 대한 이해를 추구한다. 이틀 위해 폭력에 대한 명확한 개념 이해와 극복의 방법에 대해, 그리고 잔혹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와 극복의 방법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배적 권력의 입장에서는 정치적 관계를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관계로 이해하며 권력이란 지배자가 피지배자를 통치하기 위한 도구라고 본다. 반면 소통적 권력의 입장에서는 정치적 관계를 평등한 개인들이 이루는 수평적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조정의 과정으로 이해하며 권력 이란 그 개인들이 이룬 합의가 가신의 공동체적 삶을 규율하는 장치로 본다. 폭력적 수 단에 의존함이 없이 정치를 통한 평화를 이루려는 소통적 권력의 정치의 리더십을 위 해서는 폭력과 권력이 대립적 관계에 있음이 명확하게 되어 폭력을 제어하는 길로서 소통적 권력의 형성이 대안으로서 명확히 제공퇴며, 형성된 소통적 권력을 존속시키고 강화하는 리더십을 요구한다. 리더는 권력의 근거와 소통적 권력이 산출되는 정치에 대한 이해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이상 심리로부터 자유로워야 하며, 도덕성을 갖추 어야 한다. 이 도덕성은 도덕철학적 원리에 고취됨으로 써가 아니라 도덕적 감성에 따른 인간에 대한 존중심에 기초한 것이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power and authority as the core concepts of political leadership. For this we need to understand the constituent elements of violence and atrocity and the way to overcome them. In dominating power the political relationship is considered to be the relationship of the ruler and the ruled: power is the tool for the former to rule the latter. In communicative power it is considered to be the procedural relationship of mutual coordination: power is the operation of self-ruling of community based on consent. For the betterment of politics we need to establish communicative power and to make it sustainable. For this purpose political leadership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politics generating communicative power, freedom from distorted mentality, and the morality on the basis of respect of humanity by means of cultivating not only moral principles but also moral sent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