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존연구들과 달리, 2005년부터 2010년에 걸친 재정사업자율평가보고서의 답변근거를 토대로 집행부진에 해당하는 국고보조사업 전체를 추출하여 집행부진원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수요 예측의 부정확성, 비용 산정의 부정확성, 국고지원의 부족, 집행계획 및 설계 미비, 지방비 미확보, 부지 미확보, 인·허가 절차 미이행, 주민동의 미확보, 기타절차 미이행, 중앙정부의 계획변경, 지자체의 계획변경, 국고예산배정지연, 관련기관 간 조정, 추진절차기간 과다 소요, 문화재발굴 관련 절차 이행, 혐오시설설치에 따른 주민 반대(NYMBY 현상), 문화재발견, 자연재해, 기타돌발상황, 용도 외 지출, 부적격자에 대한 지출, 집행실적 미제시, 집행부진이유 미제시 등 23개 요인이 집행부진현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을 단계별로 유형화한 결과, 계획단계(사업계획, 재정계획, 사전절차), 집행단계(계획변경, 교부지연, 절차지연, 비통제요인, 부적절한 예산사용), 평가단계(실적 미제시, 부진이유 미제시)로 분류할 수 있었고, 이들 중 사전절차의 미비 및 절차지연으로 인한 집행부진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책집행에 관한 연구는 정책의 성과달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규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차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자체 국고보조사업의 계획 및 집행 시 고려해야 될 점을 제시함으로써 집행부진을 좀 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정책적인 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