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SCOPUS
소의 뇌조직 Phospholipase C의 활성화에 미치는 G-단백질의 역할
김정희 , 이동진 , 변영주
UCI I410-ECN-0102-2012-510-003533373

십이지장으로 분비되고 위내로 역류될 수 있는 bile acid가 위점막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체중 200-250gm 전후의 Sprague-Dawley흰쥐를 사용하여 pH 3인 염산과 TCDA 15mM혼합용액을 위장내에 주입하고 같은 산도의 염산을 위장내로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 조사한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TCDA에 의한 위점막 손상은 TCDA 투여후 75분이 지난 후 제일 저명하게 나타났고 15분, 30분, 120분 및 150분에는 뚜렷한 변화를 관찰할수 없었다. TDCA 투여후 75분에 나타나는 소견으로는 점막과 점막하조직의 울혈, 혈관 확장, 임파선 확장, 부종 등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관 확장 및 부종은 점차소실되는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TDCA가 급성 위점막 손상을 일으킬 수 있지만 만성적 위점막 손상에 대해서는 여러 조건하에서 더 많은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le acid on gastric mucosa. we performed biologic test using Sprague-Dawley rat. Mixture solution of TDCA 15mM and HC1 of pH 3 was given into stomach to one group and HC1 of pH 3 was given into stomach to another group. The significant gastric mucosal change was vasodilatation and edema. that was disappeared progress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e bile acid can damage gastric mucos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