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SCOPUS
Olivopontocerebellar Atrophy의 임상상과 전산화단층뇌촬영 소견
박미영 , 어경윤 , 하정상 , 변영주 , 박충서
UCI I410-ECN-0102-2012-510-003542758

저자등은 최근 5년동안 본원 신경과 외래와 입원환자중 CT상 특징적인 뇌교소뇌위축을 보이고 그에 따른 임상적 증상은 보인 OPCA 환자 12예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분포는 49세에서 72세이며 주로 50대에서 60대에 많았다. 성별분포는 남자에서 약 4.5배 더 빈발하였다. 가족력이 있는 것으로 추정이 되는 1예에서는 발병연령이보다 빨랐다. 2. 증상의 발현부터 진단까지의 기간은 대부분 1년에서 6년 사이였다. 3. 초기증상으로는 현기증(58%), 운동실조(33%) 등이 흔하였고 그 외에도 진전, 하지무력감, 구음장애, 두통, 뇨실금 등이었다. 또 진단당시 임상적특징으로는 소뇌기능장애(100%), 구음장애(83%), 심부건반사항진(58%) 등이 주요 소견이었다. 4. CT소견으로 소뇌홈은 전례에서 1mm이상 확장되어 있었고 4예에서는 2mm이었다. 소뇌뇌교뇌조의 폭은 대부분이 3mm 내지 4mm이며 2예에서는 5mm였다. 제4뇌실은 전후 직경이 4mm, 좌우직경이 4mm내지 8mm까지 확장된 소견을 보였으며 전례에서 전뇌교뇌조와 사구뇌조의 확장이 나타났다. 6예에서는 대뇌위축도 동반 되었음이 발견되었다.

The diagnosis of OPCA could be made clinically with important aid of brain CT scanning, although the definite and conclusive diagnosis only by postmortem pathological determination. We reviewed, clinically and with brain CT examination, 12 cases of patients with OPCA who were admitted to the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or a recent 5 years. The result were as following. : 1. The distribution of age is from 49 to 72, mainly 50 to 60. Man is more frequent than women at the 4.5 times. 2. The interval period from Sx. onset to diagnosis is 1 year to 6 years. 3. The usual initial Sxs. were dizziness(58%), ataxia(33%), and other less frequent Sxs. were weakness of low extremities, dysarthria, headache and urinary incontinenc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t the initial diagnosis were cerebellar disturbance(100%), dysarthria(83%), and increased deep tendon reflexes(58%). 4. The results of brain CT finding are like this: ㆍthe width of cerebellar sulci is more than Imm, other 4 cases more than 2mm. ㆍthe width of cerebellar pontine cistern of the patient if usually 3 to 4mm, other 2 cases extended to the 5mm. ㆍthe A. P and lateral lengths of 4th. ventricle is 4mm and 4 to 8mm respectively. ㆍ6 cases of whole patients show coincidentally cerebral atroph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