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성(mobility)은 현대의 일상을 구성하는 핵심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시공간 압축``으로 표현되는 교통과 통신의 이동성은 인간의 표상체계, 문화형식, 철학적 감성을 비롯한 사회적 경험과 관계망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동성은 이동(mobile)과 정지(cease)의 반복으로 구성되고, 그 과정에서 ``리듬``을 생성한다. 이 연구는 일상의 리듬을 분석하여 현대 사회의 일상성, 장소성, 시공간성을 탐구하는데 목표를 둔다. 현재 일반적인 일상의 리듬은 복합적이며, 거기에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규정력이 작용하고, 기본적으로 그것은 테일러주의로 표상되는 창조적 차이 없는 반복적 생산을 안정된 리듬으로 고착시킨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소비가 자본주의의 중심요소로 부각되면서 이동성의 리듬이 본질적 변화를 겪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앙리 르페브르의 ``리듬분석`` 이론틀을 검토하고, 둘째로는 쇼핑센터로 대표되는 소비 공간에서 일상의 리듬이 자본의 속도에 어떻게 포섭되고 반응하는지 살펴본다. 끝으로, 신기술공학이 생성한 가속도 이동은 일상의 리듬을 가속화시키고 이것은 소비자본주의의 화려한 외양과 결합한 새로운 복합리듬을 생성시키고 있다. KTX와 통근열차가 오가는 기차역에서 반복되는 이동성의 리듬이 인간과 물질, 환경에 작동하는 방식을 심리지리적 방향에서 검토한다.
Our daily lives consist of complex rhythms. Concerns over rhythm are connected with the sense of dailiness, temporality, spatiality, and locality. The acceleration in mobility caused by new technologies is quickening the daily rhythm. The rhythm in capitalist consumption spaces, such as shopping malls, has been won over by the rhythm of capital, turning into a simply repetitive one without resistance or change. The capitalist production methods,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Taylorist conveyer belt, solidify repetition as a stable rhythm leading to no creative change at all. Fancy appearances and fast changes associated with consumerism ultimately result in boredom. This is because boredom is related not to speed but to rhythm. However, with occasional slowness and harmonious rhythm, our daily lives emerge from such boredom. In this study, we focus on reality, where the mobility of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represented by space-time compression, creates great change in social experiences and networks, including the representation system, cultural form, and philosophical sensibility. In this study, we also examine how the human rhythm responds to the speed of capital in consumption spaces. we study how that rhythm was won over by and resist speed. In addition, taking a ``psychogeographical`` perspective, we review the effects of repetitive rhythms-found in 24-hour shopping malls and commuter train stations in particular-on human materials and environments. Lastly, we explore how local spaces that restore humanistic rhythm can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