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부모요인, 친구요인, 심리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al factors, friend`s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of children
이어리 ( Au Ri Lee ) , 이강이 ( Kang Yi Lee )
아동교육 vol. 21 iss. 2 27-39(13pages)
UCI I410-ECN-0102-2012-370-003155875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과 부모요인, 친구요인, 심리적 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요인이 초등학생의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4개 초등학교의 5, 6학년생 총 39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등학생의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은 부모요인, 친구요인 및 심리적 요인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적고 문제형 의사소통이 많을수록, 어머니가 거부·제재적 또는 허용·방임적 양육행동을 보일수록 초등학생의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구관계 친밀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낮고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이 증가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에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요인 중 부모자녀 간의 문제형 의사소통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초등학생의 우울 정도와 어머니의 거부·제재적 또는 허용·방임적 양육행동이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의 중독적인 휴대전화 사용과 관련하여 부모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elementary students` additive mobile phone use(anxiousness·dependent use, habitual use, crippling use for children`s school) and parental factors(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friend`s factors(level of intimacy and satisfaction with friends), psychological factors(self esteem, depression) and to investigate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elementary students` additive mobile phone use. A total number of 392 5th and 6th elementary students from 4 schools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y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this data analysis were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for SPSS window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elementary students` additive mobile phone us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al factors, friends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Second, among the parental variables, lower levels of open communication and higher levels of problem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higher levels of rejecting/restrictive parenting behavior or permissive/neglecting parenting behavior predicted increased rates of elementary students` additive mobil phone use. As well, higher levels of friend intimacy and lower levels of self esteem an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contribute to the increased rates of additive mobil phone use. The problematic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present the most powerful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additive mobile phone use, and depression levels of children, rejecting/restrictive or permissive/neglecting parenting behavior affects addictive mobile phone use.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 to elementary students` additive mobile phone us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