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 위기 기간과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이 포함된 2006년~2010년 기간에 대해 서브프라임 주택 모기지 부채담보증권 (CDO,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 가격으로 산출한 지수인 ABX 지수 변동에 대한 KOSPI, VKOSPI, KOSPI 시장에서의 외국인, 기관, 개인의 반응을 VAR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 갈과, 유동성이 낮아 가격 발견이 어렵고, 한국 주식시장과는 무관해 보임에도 불구하고, ABX의 하락이 서브프라임 위기 기간인 2007년에 유의적으로 KOSPI를 허락시키고, VKOSPI를 상승 시켰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ABX의 하락에 대해 외국인은 순매도를 하였지만, 기관은 순매수를 하였다. 추가적인 VAR 모형 추정을 통해 KOSPI의 ABX에 대한 반응과 S&P 500올 통한 KOSPI의 ABX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KOSPI는 ABX에 대한 S灸P 500의 반응과S&P에 대한 KOSPI의 반응이 사사하는 것보다 ABX에 대해 과소 반응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ABX의 하락에 대해 기관은 순매수를 함으로써 KOSPI가 ABX에 대해 충분히 반응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였다. 반대로 외국인은 순매도를 함으로써 KOSPI에 ABX 정보를 반영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는 해외 정보에 대해서는 외국인이 정보 우위라는 Kho(2011)의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이다.
We Investigate how Korean stock market and its participants react to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Using data for the ABX sub-prime index, we find strong evidence of information transmission from ABX to KOSPI and VKOSPI during 200] Sub-prime mortgage crisis period. Responding to the drop of ARX, domestic institutional investors buy, whereas foreign investors sell, Furthermore, we find KOSPI reacts to ABX less than the response implied by KOSPI response to S&P 500 and S&P 5(X) response to ABX, which are considered as an efficient channel of information transmission. This phenomenon occurs because domestic investors buy stocks as ABX drops, thus keeping KOSPI from responding fully to information on ABX. On the contrary, foreign Investors sell stocks as ABX drops, which show that foreign investors play as a channel for sub prime mortgage Information transmission. This evidence supports the hypothesis of Kho (2011) that foreign investors have an informational advantage over domestic investors on oversea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