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용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표현력을 향상시키는지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저소득층아동은 부모의 경제적인 활동으로 인해 기초, 기본 생활은 물론 새로운 교육과정의 기회를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교육환경은 저소득층 아동의 신체 발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사회적으로는 위축과 소외감을 느끼게 되면서 자신을 표현하는데 소극적인 행동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저소득층 아동에게 요구되는 무용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표현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우선, D복지관의 저소득층 아동을 담당하는 교사에게 면담을 실시하고, 면담내용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무용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무용프로그램은 자아발견과 타인과의 교류를 목적으로 마임, 방송댄스, 댄스스포츠의 3가지 움직임 요소로 구성하였다. 무용프로그램은 D복지관에 소속되어 있는 저소득층 아동 12명을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무용 프로그램은 총 9차시 수업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첫 수업과 마지막 수업에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표현력 검사도구와 신체표현성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초등학생의 경우, 발달학적으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저학년과 고학년으로 구분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15.0프로그램으로 통해 대응표본t검증(paired-samples t test)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인 α는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저소득층의 저학년은 무용학습을 통해 자기 표현력(말한 내용과 음성, 비언어적 표현)과 신체표현성(표현수, 방향수, 리듬성, 내용성) 요인에서 모두 유의한 학습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학년은 자기 표현력의 비언어적 표현에서만 유의한 학습효과가 나타났으며, 신체표현성은 표현수, 방향수, 리듬성, 내용성에서 모두 유의한 학습효과가 나타났다. 무용프로그램 적용 시, 저학년과 고학년의 표현력 향상의 차이는 연구대상자가 초등학생이기 때문에 발달학적으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physical and self expression ability of the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and develop a dance program. Main interview subject was regarding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and required program for an effective education. The dance program model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interview results and expert group meetings. A dance program is to promote ability of physical and self expression through self-discovery and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Accordingly, the study formed the dance program with 2 following motion factors: mime, broadcasting dance, and dance sports. Developed dance program was applied to 12 children in low income families who belong to D self welfare center. Measuring instruments were used for physical expression ability, self expression ability, painting expression ability, language expression ability and dance nee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Developed dance program is effective to promote children`s self expression ability. 2. Developed dance program is effective to promote children`s physical expression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