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돈피 젤라틴 효소분해물이 난소 적출쥐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g Skin Gelatin Hydrolysates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Ovariectomized Rats
박정은 ( Jeong Eun Park ) , 함준상 ( Jun Sang Ham ) , 김혜경 ( Hey Kyung Kim ) , 이치호 ( Chi Ho Lee ) , 김동욱 ( Dong Wook Kim ) , 설국환 ( Kuk Hwan Seol ) , 오미화 ( Mi Hwa Oh ) , 김동훈 ( Dong Hun Kim ) , 장애라 ( Ae Ra Jang )
UCI I410-ECN-0102-2012-520-00317735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 제거로 인위적으로 골다공증이 유발된 흰쥐를 대상으로 돼지껍질에서 추출한 젤라틴과 저분자 젤라틴 효소분해물 급여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의 구성은 10주령의 암컷 총 6군으로 난소 적출을 시행 하지 않은 일반 대조군과 난소 적출한 대조군은 일반식이를 급여하였으며, 난소 적출한 실험쥐에 3kDa 이하의 저분자 젤라틴 효소분해물을 0.1, 0.8% 첨가하고, 고분자 젤라틴을 0.1과 0.8% 첨가하여 급여한 후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체중 증가량은 GH0.1, GH0.8 및 G0.8 급여구에서 NC와 OC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GH0.1과 GH0.8 처리군은 사료섭취량이 NC와 OC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사료효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GH0.8 처리군이 OC군에 비해 높았으나(p<0.05) NC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젤라틴 급여군과 GH 급여군의 HDLC은 OC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혈중 alkaline phosphatase(ALP)와 osteocalcin은 각각 GH0.1과 GH0.8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간질환의 지표인 혈중 GOT와 GPT도 모든 처리구에서 OC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돼지껍질에서 분리한 저분자 젤라틴 효소분해물은 골밀도를 증진 시키고 폐경기 여성의 골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용성 기능성 소재로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젤라틴 급여구의 높은 단백질 함량으로 젤라틴 효소분해물의 효과가 미미하여 비교시 골밀도 증진 효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추후 적정농도 설정에 관한 연구가 추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low molecular weight gelatin hydrolysates (GH, less than 3kDa), extracted from pig skin collagen on the bone metabolism of ovariectomized (OVX) rats. The ra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randomly segregated into six different treatment groups such as 1) NC, the normal rat fed AIN 93 diet (basal diet) only; 2) OC, the OVX rat fed the basal diet only; 3) GH 0.1, the OVX rat fed the basal diet with 0.1% GH; 4) GH 0.8, the OVX rat fed the basal diet with 0.8% GH; 5) G 0.1, the OVX rat fed the basal diet with 0.1% gelatin; 6) G 0.8, the OVX rat fed the basal diet with 0.8% gelatin. Body weight gain in the GH 0.1, GH 0.8, and G 0.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C and OC. Feed intake of the GH 0.1 and GH 0.8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C and OC,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feed efficiency ratio (FER). BMD of the GH 0.8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C. However, gelatin hydrolysates and gelatin resulted in higher BMC level compare to the OC. Serum HDL-cholesterol of rat fed GH and gelatin was higher than that of OC (p<0.05). LDL-C of the GH 0.1 and the GH 0.8 tended to be less than that of OC. Serum alkaline phosphatase (ALP) of the GH 0.1 was lower than that of the OC. The serum of GH 0.8 showed lower osteocalcin value than the OC (p<0.05). In addition, GOT and GPT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treatment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elatin hydrolysates from pig skin gelatin hydrolysates enhanced BMD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related to bone metabolism. Therefore, the gelatin hydrolysates could be used as a beneficial material to improve bone healt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