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어류인 가는돌고기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연 구는 생물학적 특성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2010년 연구를 실시하였다. 성숙난은 암컷에 Ovaprim 을 주사하여 얻었으며 건식법으로 인공수정시켰다. 성숙란은 강한 부착난으로 불투명한 짙은 회색이었으며 난경은 1.96±0.08mm였다. 수온 23˚C에서 수정 후 240시간 후에 부화하였으며 부화 직후 전기자어 크기는 전장 8.6±0.25 mm였다. 부화 후 2일에 난황을 모두 흡수하였으며 전장 9.0±0.37mm로, 부화 후 10일째에는 모든 지느러미 기조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으며 전장 10.6±0.44mm로 성장하였다. 부화 후 70일 후에는 전장 36.0±2.13mm로 등 지느러미에 검은 점이 형성되고 체측반문이 성어와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slender shinner, Pseudopungtungia tenuicorpa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regarding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in 2010. Eggs were obtained by injecting females with Ovaprim and then fertilized using the dry method in the laboratory. Matured eggs were strongly adhesive, opaque and grayish and measured 1.96±0.08 mm (mean±SD) in diameter. Fertilized eggs hatched 240 h after fertilization at 23˚C, and newly hatched larvae an average 8.6±0.25 mm in total length. At 2 days after hatching, larvae averaged 9.0±0.37mm in total length and their yolk sacs had been completely absorbed, About at 10 days after hatching, they beacme to juvenile stage and reached 10.6±0.44 mm in total length. At 70 days after hatching, the band patterns and external form of juveniles were similar to those of adults, and they averaged 36.0±2.13 mm in total l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