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1
18.97.14.91
close menu
Accredited
<전우치전>의 현대적 다시쓰기와 그 의미 -아동용 출판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Modern Rewritings in Jeonwoochi -Focusing on Publications for Children-
오세정 ( Se Jung Oh )
인문학연구 vol. 86 115-139(25pages)
UCI I410-ECN-0102-2012-000-003240334

본고에서는 현재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전우치전>의 다시쓰기 텍스트들을 확인하고 12종의 텍스트를 확보하였다. 이들을 분석하여 고전 <전우치전>의 가치와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우선 12종의 <전우치전> 다시쓰기 텍스트들은 신문관본 <전우치전>을 기본으로 하여 출판되었고, 그를 기초로 4가지 유형분류가 가능했다. 12종의 텍스트들은 기본형, 축소형, 발단변화형, 다변형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본형과 축소형은 신문관본 <전우치전>에 충실한 텍스트였다. 또한 발단변화형과 다변형의 텍스트들은 현재 어린 독자들을 고려한 새로운 텍스트로 전우치라는 주인공의 인생관과 고민, 그의 행동들을 일관성 있게 서술하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12종의 <전우치전> 텍스트 중 7종은 다시쓰기 작가를 전면에 부각시켜, 작자가 미상으로 알려진 원작에 대한 이해를 흐리고 있었다. 또한 어떤 <전우치전>의 이본을 기본으로 하였는지 밝힌 텍스트는 창작과 비평사의 <전우치전> 1종에 불과했다. 이는 반드시 시정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고전의 다시쓰기 작가들은 원작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먼저 임을 주지해야 한다. 앞으로 출간될 다시쓰기 <전우치전>에서는 작품이 갖는 환상적이고 비현실적인 에피소드들이 본 작품의 가장 큰 특징임을 이해하고, 보다 정확한 원작 및 작가에 대한 설명, 이본 등에 대해 표기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Modern Rewritings in Jeonwoochi - Focusing on Publications for Children - Oh, Se-jung This study verified current revised versions of Jeonwoochi for children and adolescence and secured twelve types of tex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pieces of work, the study examines if these texts accurately transmit the values and the significances of this classic novel. First of all, the revised versions of the twelve types of Jeonwoochi were published based on the version by the publisher Shinmungwan, and from these, the study could distinguish them into four categories. The twelve types of texts could be classified into basic, abstract, early stage of change, and various transformative categories, and the basic and abstract versions showed similar representation with the initial version from Shinmungwan. Moreover, the early stage of change and various transformative texts tried to express coherently the life values and struggles of the protagonist Jeon Woo Chin in a new form,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urrent young readers. However, seven texts out of the twelve emphasized the writer who completed the revision that doubted th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narrative, where the author is unknown. In addition, only one text, published by Creation and Criticism, revealed the source of its revision, in other words, from which original version of the novel they based their revision upon. This is a practice that needs to be corrected, and the revising writers of classic tales should be aware that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proceeds the revising act. In future publications of the revised versions of Jeonwoochi need to understand that the fantasy and unrealistic episodes of the tale are its biggest characteristic and should mark the explanations of the orignal text, the author, and the edi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