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용전공자의 취업을 어떻게 창출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로 문화예술정책적인 방향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문화복지가 모든 국민의 문화생활상의 요구나 문화적 필요성에 부응하여 문화생활을 개선 향상시키는 사회문화적 서비스를 통칭하는 것이라면 무용예술교육이야말로 현시대에 꼭 필요한 문화복지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성을 실감하여 무용전공자의 공적인 취업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첫째, 무용예술 서비스는 모든 대상에 문화예술을 즐기는 의미의 복지영역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무용예술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문화예술복지정책이 입안되어야 하고 그에 따른 사회서비스의 확대실시로 무용전공자들의 ``일자리``를 창출하여야 한다. 셋째, 무용예술교육을 예술복지 차원의 정책으로 수립하여 무용을 국민복지를 위한 정규적인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서비스 영역을 취업과 연관시켜 보면 많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데 이러한 일자리를 정규적인 직업으로 연결할 경우 무용예술교육을 사회복지차원의 정책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공공문화예술복지재단의 설립, 무용(사회)복지사의 개념 도입, 노인문화예술복지센터 건립을 통한 노인복지시설의 무용수업 활성화, 노인이나 장애인을 위한 공공 무용 프로그램 개발(무용치료와 건강예방), 평생교육으로 무용수업 확대 등을 통하여 생기는 일자리에 무용전공졸업자들이 무용복지사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sider how to create job opportunities for dance majoring students in terms of the art an culture policies. More specifically, it centers on the government-led public sector or social welfare and culture policy. If we understand cultural welfare as a socio-cultural service to improve cultural life in tandem with cultural needs of ordinary people, dance education should be one crucial aspect of cultural welfare currently in need. With this in mind, I would like to several suggestions: first and foremost, dance art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social welfare arena in which every one can enjoy art and culture. Second, art and culture social welfare policies should be set to realist dance art service and furthermore, to create jobs for dance majoring students. Third, dance art education should be linked to policy making at the level of art welfare so that dance can be a regular feature of national welfare. Fourth, these attempts will bring out creation of many jobs and thus dance art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social welfare. Fifth, dance majoring students should be able to find jobs as dance-related social workers in such fields as public art and culture welfare foundation, dance-related social work, art and culture welfare center for the seniors and/or the physically challenged and lifelong eq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