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증시에 대한 미국 기준금리 조정효과를 분석하였다. 국내 증시 의 중요 변수를 고려하여 설정된 세부 주제는 첫째, 국내 증시에 대한 기준금리 조정과 미 증시수익률의 교호작용 존재 여부, 둘째, 국내 증시에 대한 기준금리조정 효과의 지속성 여부, 셋째, 국내 증시 변동성에 대한 기준금리조정효과의 존재 여 부, 넷째, 미 기준금리 조정과 한-미 증시 동조화의 관계, 다섯째, 한-미 증시 수익률 차이와 기준금리조정효과의 관계, 여섯째, 외국인 투자 비중과 기준금리 조정효과와의 관계이다. 주제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 기준금리의 조 정은 선행 연구와 동일하게 국내 증시 수익률과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미 기준금리의 상향(하향)조정은 유의하게 미 증시의 한국 증시에 대한 영향력을 증가(감소)시켰다. 이는 향후 자산의 기대손실이 예상될 때 국내 투자자들이 예상 과 실제 기준금리 조정의 차이를 반영하는 미 증시수익률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 하는현상을 나타낸다. 셋째, 기준금리 조정효과가 국내 증시의 일중수익률에는 지속되지 않았다. 이는 종가 대비 시가수익률에서의 투자자들의 과잉반응 또는 새 로운 정보 유입에 의한 것으로 유추된다. 넷째, 한국 증시의 변동성은 미기준금 리 상향 시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부정적인외부충격이 발생한 경우 국내 투자자들이 향후 효과를 동질적으로 인식하는현상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긍정적인 국내 경제상황을 나타내는 외국인 주식 보유비율의 증가와 한-미 증시 수익률의 격차 확대는 기준금리 조정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U.S interest rate adjustments on the Korean stock market. It examines six important variables that are of interest: (i) interactive effect of the interest rate adjustments and the U.S stock market returns (ii) persistence of the adjustment effects, (iii) adjustment effects on the volatility of the Korean stock market, (iv) casual relation between co-movement of the U.S and Korean stock market returns and the interest adjustments, and (v) interactive effect of the foreign investment ratio and the interest rate adjustments. I explore an event study to analyze these effects. Study results show the followings. First, the upward (downward) movements of the US interest rate lower (raise) the KOSPI returns.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Second, upward adjustments of the interest rate by FOMC significantly reinforce the positive casual relation between U.S and Korea stock market returns. This finding implies that investors tend to be more sensitive when the FOMC actions affect expected losses then gains. Third, persistence of the adjustment effects is not founded in the KOSPI returns. The stock market is constantly influenced by other news and the effect may not persist too long. Forth, the volatility in the Korea stock market is diminished by the positive interest rate adjustmen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market uncertainty is removed more clearly by the negative external shock. Finally, as the proportion of foreign investment increases, the influence of the US interest rate adjustments on the Korean stock market is low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