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86
18.97.14.86
close menu
Accredited
수직적 차별화된 내구재를 생산하는 독점의 가격책정
Pricing of a Monopolist Producing Vertically Differentiated Durable Goods
배형 ( Hyung Bae )
UCI I410-ECN-0102-2012-320-003224944

본 연구는 수직적 차별화된 두 가지 내구재를 생산하는 독점기업이 품질차별, 기간간 품질차별, 기간간 가격차별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분석하여 시간할인요소가 증가하면 (기간간) 품질 차별이 기간간 가격차별을 대체해 감을 알아내었다. 품질향상이 없는 경우에는 시간할인요소가 1로 접근하면, 독점기업이 기간간 가격차별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효율적인 균형이 달성됨도 알아내었다. 그러나 시간할인요소의 증가는 기간간 가격차별을 피하기 위해 (기간간) 품질차별을 사용하는 영역을 확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품질향상의 가능성이 균형을 어떻게 변화시키는 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격약정 균형에서는 품질향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비가격약정 균형에서는 고품질 제품의 생산비를 인상시키는 것이 (기간간) 품질차별 후 품질향상 않음을 시간일치 전략으로 만들어 균형이윤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We analyze how a monopolist producing two vertically differentiated durable products uses quality discrimination, intertemporal quality discrimination and intertemporal price discrimination, and find that as time discount factor increases, (intertemporal) quality discrimination replaces intertemporal price discrimination. In a no upgrade case, as time discount factor approaches to 1, equilibrium outcome tends to be efficient except when the monopolist uses (intertemporal) quality discrimination. However, increase in time discount factor expands the cases in which the monopolist introduces (intertemporal) quality discrimination in order not to use intertemporal price discrimination. We also analyze how the possibility of upgrade affects equilibrium. We find that upgrade never happens in commitment equilibrium, and that there exist situations in which the monopolist can increase profit by increasing cost of the high quality product and making "(intertemporal) quality discrimination and no upgrade" time consistent in non-commitment equilibriu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