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영정조 시기는 여러 분야에 안정되었다. 특히 성리학은 ``聖人과 凡人의 본심에 대한 同異 논쟁``과 ``사람과 동물의 본성 동이 논쟁``이 있었으나 이는 조선 전기 성리사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이었다. 그리고 당시 중국의 새로운 학문과 문물 그리고 서학이 수용되면서 국내에서도 학풍이 새로이 진작되기도 하였다. 江阜 柳尋春은 18세기 중반 경상도 尙州에 태어나 家學을 계승하여 학문을 전개하였다. 가학의 연원은 퇴계학을 이은 柳成龍의 학문인 屛派였다. 그의 삶 가운데 향촌에서 생활할 적에는 우애를 도모하면서도 講學에 적극적이었고, 벼슬에 나아가 그 직무를 처리할 적에는 도덕적 책임을 다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삶 속에는 바로 ``敬`` 공부에 의한 治心(마음 다스림)을 통해 純一한 마음이 있었다. 류심춘의 사상은 당시 많은 학자들이 理氣心性을 치밀하게 탐구하는 경향에서 벗어나 마음 수양 공부에 집중되었다. 특히 『심경』을 접한 이후 세 차례 강학하며 마음 수양 공부는 더욱 확고해졌다. 그 수양의 기저에는 居敬의 정신이 있었다. ``거경`` 공부는 마음의 純一性을 지향하도록 하였다. 마음의 순일성 지향은 바로 ``본심``·``양심``·``진심``·``도심``의 실현이었다. 이는 人欲에서 벗어나 天理를 보존한 참다운 선비로써의 공인의식으로 이어졌다. 그는 經學과 學行으로 천거되어 벼슬에 나아간 이후 마음의 순일성을 가지고 크고 작은 소임의 직분을 다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가 강학활동에 적극적이면서도 근면한 삶으로 나아간 것 역시 ``경 공부에 의한 마음의 순일성이 그 저변에 있었다. 이러한 마음의 순일성 지향은 종국에 유가적 법문을 지켜 향촌사회에서 公議·公利·公益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의식은 바로 류성룡이 출사하여 奉公의 정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가학에서 크게 연유하는 면이라 하겠다. 즉 류심춘의 삶과 사상은 마음의 순일성을 지향하면서 봉공의 정신을 실현하고 위정자로써의 도덕적 책임을 다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fe and thought of Ryu Sim-chun. He was born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He succeeded and developed the studies of his family that had been originated from Ryu Seong-ryong. He tri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his brothers and friends when he was living in his hometown and make utmost efforts to fulfill his duties disinterestedly after he was appointed as a government official. He was able to achieve the pure state of mind by cultivating his mind through continuous learning of ``Gyeong(敬: reverence)`` throughout his life. The thought of him was focused on cultivating his mind rather than following the tendency of other scholars at that time to research the idea of Igisimseong(理氣心性: the principle of universe and the nature of human mind). There was the spirit of ``Geogyeong(居敬: Keeping self awareness) at the base of his training and learning. Learning ``Geogyeong`` required him to keep the purity of his mind. Keeping the purity of the mind was to materialize ``Bonsim(本心: Real mind)``, ``Jinsim(眞心: true mind)`` and ``Dosim(道心: Tao mind)`` and was connected to the public consciousness of a true classical scholar who was able to preserve the nature of the universe, overcoming worldly desires. His thrift life based on constant learning and self-discipline could be ascribed to the purity of his mind to learn ``Gyeong``, in principle. In conclusion, the life and thought of Ryu Sim-chun were considered to have focused on achieving the purity of mind and the idea to realize personal good and faithfully fulfilling his moral obligation as a government offic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