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조선후기 당대 성리학의 종장으로 평가되고 있는 식산 이만부의 서화에 대한 미학 담론을 조명한 것이다. 식산의 집안은 대대로 서화예술에 대한 가학이 이어져오고 있었다. 이런 환경 속에서 어릴 적부터 서화를 접하게 된 식산은 서화에 일가견이 있었던 사람이다. 그는 서예뿐만이 아니라 인물화를 비롯하여 산수화 등의 그림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의 서화비평에는 성리학적 예술철학과 민족예술의 우수성에 대한 자긍심이 들어 있었다. 식산 이만부의 ``고전팔분체``의 글씨에는 枯淡의 풍격이 들어 있으며, 그가 남긴 <무이도>, <오현도>, <상산사호도>, <누항도> 등의 그림에는 교화와 인륜을 위한 위대한 사상과 미의식이 들어 있다. 그의 서화예술과 서화에 대한 비평에는 다양한 미의식이 들어있으며 조선 선비의 민족적 기질이 함의되어 있다. 그의 서화 작품과 비평에는 성리학의 오묘한 理趣와 고도의 예술성이 포함되어 있다. 식산은 서화에 대한 호사가로서 날카롭고 섬세한 예술 감상과 비평의 능력을 구비하고 있었다. 식산은 18세기 초, 조선 서화예술에 대한 비평의 거장이었다. 그는 藝道一致의 성리학적 서화관과 우리 서화의 자긍심을 주창한 민족서화론을 피력하고 있었다. 오늘날 전하여오는 그의 필적만 보아도 그의 書畵風은 성리학적 예술철학의 풍격이 깃들어 典雅하고, 집안 대대로 서화예술에 대한 인물들이 끊임없이 이어지던 연안이씨의 귀족적인 기품이 높다.
This paper is a study on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 1732)`s discourse on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 style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clude naturalism, expressionism, advocate nationalism. the consonance with an art and the Sung Confucianism(藝道一致)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Hi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re in consonance with the Sung Confucianism.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was a great scholar of Sung Confucianism who got over suffering from party dispute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 He was left outstanding achievements in academic aspact as well as political and educational aspect. It was human nature and natural laws. How to enjoyment art and culture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confucian scholars in the Choseon Dynasty period. This term derives from ancient chinese a philosophy.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s accomplished on the basic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aesthetics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hi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in the aesthetics of the basic of Sung Confucianism. In his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poetic criticism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valued the dignity of JeonAh(典雅), be concerned in the Moral philosophy and an Aesthetics. A discussion on the Sung Confucianism(性理學) and the aesthetics of the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for Sik-san(息山) Lee, Man-bu(李萬敷, 1664-1732) in the Choseon(朝鮮) Dynasty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