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14.91
18.97.14.91
close menu
Accredited
세 가지 위험환경에 따른 청소년일탈의 보호요인 및 조절요인분석: 탄력성이론을 중심으로
Testing Protective and Buffering Factors to Reduce Delinquency Based on the Three Types of Adversities: Applying Resilience Theory
이지숙 ( Jee Sook Lee )
UCI I410-ECN-0102-2012-330-003334561

탄력성이론은 역경이나 위험상황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을 건강하게 적응하도록 돕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탄력성이론의 전제에 따라 역경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을 세 그룹으로(친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그룹,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그룹, 왕따나 조롱 등을 경험한 그룹) 분류하고 이들의 일탈을 경감하게 하는 보호요인(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친구애착, 교사애착, 지역사회애착)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라는 위험요인과 제시된 보호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청소년일탈을 완충하게 하는 조절요인이 무엇인지 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 연구결과 세 그룹 모두에서 자기통제력이 청소년 일탈을 경감하게 돕는 가장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왕따나 조롱 등을 경험한 청소년들에게는 자기통제력이 스트레스와 일탈과의 관계에서 완충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시사점 등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lthough there is no one true definition of resiliency, resiliency in general refers to the ability or the process to bounce back despite of substantial adversity. The resiliency theory introduces various protective factors to decrease undesirable outcomes. Protective factors can be interpreted in two different ways. One is that a factor may decrease the likelihood of an occurrence of undesirable outcomes such as adolescent delinquency (e.g., a good parent-child relationship reduces the likelihood of adolescent drug use). The other is that one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factors (e.g., daily stress or conflict) and undesirable outcomes. In addition, the resiliency theory assumes that adversities are required to meet the criteria of being resilient. In order to fulfill these assumptions of the resiliency theory, three groups were categorized for the study: (1) the participants with one parent or no parent: (2) the participants with economic hardship: (3) the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s of being ridiculed or ostracized. The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aily stress, self-control, self-reliance, teacher closeness, friend closeness, parent closeness, community closeness, and adolescents delinquency.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s the buffering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adolescent delinquency. Recommend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