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7.9.170
18.97.9.170
close menu
Accredited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종사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tress on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임진섭 ( Jin Seop Lim ) , 이혁준 ( Hyuk Joon Lee ) , 임정훈 ( Jung Hun Lim )
UCI I410-ECN-0102-2012-330-003225687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를 대표적인 시설유형인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종사자로 구분하여 이들의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에 대한 수준과 이에 따른 구조적인 경로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의 경우 생활시설 종사자들이 이용시설 종사자들에 비해 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공정성의 하위차원인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및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의 검증에서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상호작용공정성은 직무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논의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and job stress on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between social welfare using facilities and community(living)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justice`s 3 sub-dimensions;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are same result through the latent average analysis between social welfare using facilities and community(living) facilities. however, social worker who works in living facilities job stress is higher level than using facilities worker. Second, distributive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has a positive effect to job stress but procedural justice has not statistical effect. In addition, only interactional justice have a negative effect to job stress, job stress have negative effect to job satisfaction. Third, In this study, established structural model are existed partially difference between group of facility typ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