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의 대중적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대중매체에서 나타나는 장애인 스포츠와 장애 선수들의 이미지와 대중매체가 장애인 스포츠와 장애 선수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제 31회 장애인체육대회 기간 동안 한국의 주요 일간지에 나타나는 장애인 스포츠와 장애 선수들에 관한 신문 기사들의 보도 형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앙지 3개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와 지방지 3개 (경남 신문, 경남도민일보, 경남일보)의 신문 기사를 사용하였고, 기사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제31회 전국체육대회 기간인 2011년 10월 17일부터 10월 21일까지 5일간의 신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인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사용하여 장애인 스포츠와 장애 선수들에 관한 신문기사와 사진 기사를 분석하였고, 신문기사와 사진 기사의 의미 있는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문 분석(textual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 선수들과 장애인 체전에 관한 중앙지 신문들의 장애인 체전 소외가 명확히 나타났다. 이 결과는 관련 협회나 장애인 체전 담당자들과 언론, 특히 신문사와의 관계 강화 및 협력을 통하여 장애인 체전 관련 기사거리를 지속적으로 생산하여 보도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둘째, 남성 중심의 헤게모니가 신문보도에서 여전히 투영되고 있다. 이는 여자 선수들의 참여를 저해하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셋째, 사진 기사에서는 장애 선수들의 장애를 숨기려고 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반면 신문 기사에서는 장애 선수들이 장애를 극복하는 영웅적 모습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 장애인들과 독자들에게 장애 선수들의 장애를 보편적으로 인식하게 하면서, 동시에 독자들이 일반적인 운동선수들의 가치와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보도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대중매체들 중에서 장애인 체전기간 동안의 장애 선수들과 장애인 체전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보다 보편적인 결과를 적용시키기 위해서 장애인 체전뿐만 아니라 장애인 올림픽이나 전국규모의 장애 선수들을 위한 단일 종목 선수권대회에 관한 기사에 대해서도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장애인 스포츠 기사들의 다양화는 비장애인들에게 장애인 스포츠에 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독자들에게 장애인 스포츠와 장애 선수들에 관한 올바른 가치와 태도를 가지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31회 전국장애인체육대회만을 연구 기간으로 선정하였고, 연구 결과 3개의 중앙지에는 단 하나의 장애인 체전과 장애 선수들에 관한 신문 기사나 사진 기사가 없었기 때문에, 3년 혹은 5년의 기간 동안 중앙지와 개최지역의 지방지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 spite of the popular impact of sport through mass media, there have been few mass media studies on disability sports and images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in Korea. From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wspaper coverage of six daily newspapers on disability sports and athletes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31st Korea National Para Games. Three nationwide newspapers (Chosun Ilbo, Joongang Ilbo, and Donga Ilbo) and three local newspapers (Geyoung Nam Ilbo, Geyoung Nam Do-Min Ilbo, and Geyoung Nam Ilbo) have been used for analysis on newspaper coverage.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newspaper coverage during the Korea National Para Games which occurred from October 17th to 21st 2011.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newspaper coverage and images of disability sports and athlete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verage on disability sport and athletes with disabilities in three metropolitan newspapers has been clearly alienated and marginalized. It seemed that a director or a committee in charge of Korea National Para Games Association needs to interact with mass media, specifically newspaper, in order to create newsworthiness on Korea National Para Games. Second, hegemony of male athletes with disabilities exists in the newspapers. This prohibits female athletes with disabilities from participating in disability sports and physical activities. Third, their disabilities or impairments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hidden in the photographic image, whereas athletes with disabilities in the texts have been described as the "super crip" image. As a result, mass media requir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and readers not only to recognize the common image of athletes with disabilities, but also to actively create unbiased values and attitudes on disability sports and athlete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newspaper coverage for only 5 days during the 31th Korea National Para Ga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article and photograph on the Para Game and athletes with disabilities in the three nationwide newspapers. As a result, a longitudinal study is required to analyze the newspaper coverage by focusing on the metropolitan newspapers and local newspapers in the host city during the Korea National Para Game and athletes with disabilities for three or five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