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공시제도는 유가증권시장의 참여자들 특히 투자자들의 보호를 위한 목적을 가지고 발전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상법과 자본시장법(2009년 이전에는 구 증권거래법), 공정거래법을 근거로 서로 조금씩 다른 범위와 목적의 공시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특히 공정거래법상 공시제도는 크게 대규모 내부거래 공시, 비상장회사 중요사항 공시, 기업집단 현황공시로 나뉘어지는데, 기업집단 내부거래의 통제와 비상장회사의 경영투명성 제고 및 출자총액제한제도의 폐지와 더불어 기업집단 전체에 대한 시장의 자율감시기능을 높인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공정거래법상 공시는 타법에 의한 공시와 달리 보다 내부거래와 기업집단의 현황파악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동일인이 개인인 기업집단에 대해 좀더 많은 공시의무를 부과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공정거래법이 기업지배구조 내지는 기업집단지배구조에 대한 규제에 있어서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기업(집단)지배구조가 바람직한 모델인지에 대한 제시가 없는 상태에서, 전통적으로 문제시되어 온행위 자체를 직접 규제하지 않는 한 관련된 정보만을 시장에 공개하는 공시의 본질적인 한계로 인해 기업지배구조에 대한 영향력 자체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개정 상법상 확대된이사의 자기거래규제 등 관련 법령상의 제도의 활용 및 공정거래위원회를 통한 좀더 적극적인 제도 발전이 요망된다.
Traditionally, disclosure systems have developed with the purpose of protecting pa rticipants in the securities markets, such as investors, particularly. In Korea, there are several disclosure systems, respectively under the Commercial Code, Financial Invest 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formerly, before 2009, the Securities Exchang e Act) and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MRFTA") each of whic h has a bit different scope and purpose from those of others. The disclosure system under the MRFTA (the "Disclosure System") is classified into 3 items: Disclosure of Large-scale Affiliated Transaction; Disclosure of Material Events by Non-listed Compa nies; and Disclosure of Business Group Status. The objective of the Disclosure Syste m is to control inter-company transaction within the business group, increase corpor ate transparency of non-listed companies and improve self-monitoring function of the market over the whole business groups following the abolition of the regulations on total equity investment. Focus on figuring out the internal transaction and current stat us of the business group, and heavier disclosure obligation assigned to the business group falling under the case where the same person is an individual distinguishes the Disclosure System from other systems under different laws. However, even thoug h the MRFTA is an act which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regulations on the corpor ate governance or corporate governance of business group, since no suggestions of the desirable corporate governance model are set forth under the MRFTA and withou t directly regulating wrongdoings, there is still some doubt about the effect of the Disclosure System on the corporate governance, because of the intrinsic limitation of disclosure system based on its nature. In this regard, making good use of other syste ms under the relevant laws such as extended regulations on the directors` self-dealin g under the revised Commercial Code, and more active efforts to develop the Disclos ure System through the Fair Trade Commission are required.